##_revenue_list_upper_## 환장인 :: '원화전망' 태그의 글 목록 (16 Page)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1300원 초반 공방. FOMC대기모드"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지난주 ECB통화정책회의에서 50bp의 시장예상치를 상회하는 금리인상을 했음에도 이번주 FOMC를 앞두고 보합세를 보였던 달러원 환율은 서울환시 1313원에 종가를 형성 후 역외에서 -2.5원가량 하락한 1309.5원에 역외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연준은 26~27일 FOMC정례회의를 열고 정책금리를 결정할 것입니다. 일각에서 100bp금리인상 가능성도 언급되었으나 연준위원들은 75bp인상을 지지하는 가운데 CME페드워치에 따르면 75bp금리인상 확률을 73%, 100bp금리인상 확률은 27%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시장은 75bp인상을 선반영해왔으며 75bp금리인상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줄어들 것으로 보이며 이후 파월연준의장의 기자회견에서 이후 금리인상폭이 줄어들 수 있다는 힌트가 나올경우 달러약세로 반응할 수 있어보입니다.

달러원환율은 1300원 초반에 강한 결제수요가 유입되고 1300원 중후반레벨에서는 네고물량이 나오며 좁은 보합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지난주 외국인의 코스피시장에서 1조원 순매수 또한 상단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여져 이번주 FOMC이벤트와 국내증시 외국인 동향에 따라 방향성을 결정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벌써 7월 마지막 주이네요. 좋은 하루 시작하시고 한달 마무리 잘 하는 한 주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ECB 50bp 빅스텝. 마이너스 금리 탈출"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ECB통화정책회의에서 시장예상치인 25bp를 넘어선 50bp금리인상을 하며 11년만에 금리인상을 단행하였습니다. 이에 기준금리인상 발표 9시15분경부터 30분간 유로화는 급등하였으나 미 경기선행지수가 0.8%로 하락하였고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도 -12.3pt로 급락한 영향이 경기침체우려를 불러일으키며 증시하락과 달러강세를 재개하였습니다. 이에 달러원 환율도 1305원까지 하락 후 1313원까지 상승하였으나 새벽사이 ECB 금리인상이슈가 재부각되고 테슬라 주가급등에 따른 투자심리 완화에 유로달러는 반등에 성공했고 미증시도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달러원환율은 전일 서울환시 종가 1307.7원대비 0.75원가량 하락한 1306.5원에 역외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전일 러시아의 가스관 공급을 재개하며 유로존 경기침체우려를 다소 완화시켰으나 정상공급량의 40%수준이라 여전히 재료는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전일 BOJ는 물가상승과 엔화약세에도 대규모 완화정책을 유지하기로 하였습니다. 일본국채의 정부보유비중이 상당한 상황으로 GDP가 증가하지 못하는 현상황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하기는 부담스러운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러한 BOJ의 금융완화정책은 최근 급격한 엔화약세의 재료로 작용하고 있으며 139엔으로 1998년 이후 24년내 최고치를 경신중에 있어 달러강세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달러원 환율은 1300원 중반수준에 개장 후 장중 주요국통화움직임과 증시 수급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1300원 초반수준에서 결제수요와 저가매수세가 강력히 유입되는 점이 확인되어 다음주 FOMC까지 1300원 내외에서 보합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럼, 한 주 마무리 잘 하시고 즐거운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ECB, FOMC 주요국 통화정책 대기"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달러약세와 국내증시 상승세에 1302.8원까지 하락했던 달러원 환율은 오후 수급상 결제수요유입과 위안화가 6.75위안으로 상승한 영향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해 1312.9원에 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금일 저녁 9시15분 ECB에서 첫 금리인상이 예고되어 있습니다. 러시아가 유로존에 대한 가스공급 제재로 인한 경기침체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에 주요국처럼 50bp이상 금리인상은 여의치 않아보이는 상황으로 25bp금리인상에 그칠 것이란 시장예상이 반영되며 달러인덱스는 107pt로 재차 상승하였고 달러원 환율도 소폭 상승한 1313원에 역외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금일 러시아의 노르트스트림1 가스관 점검 이유로 가동이 중단되었던 것이 재개될지 여부도 유로화 향방에 주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러시아는 지난 11일부터 열흘간 정기점검을 이유로 가동을 중단하였기에 금일 적시에 재개될 경우 유로존 경기침체 우려가 다소 완화되며 유로화 반등을 이끌 수 있어보입니다.

연준은 6월 CPI와 PPI 상승영향에 다음주 FOMC에서 100bp 금리인상가능성이 80%이상 올랐으나 전일기준으로 23%수준으로 100bp금리인상 우려는 완화되었습니다. 그럼에도 ECB와 연준의 통화정책차별화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져 유로화에 약세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달러원환율은 1300원 초반수준에 강한 결제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달러인덱스가 꺽이지 않는 상황에서 1300원 밑으로 하락하는 것이 여의치 않아보입니다. 금일 밤부터 시작되는 주요국들의 기준금리인상이 달러인덱스의 위치조정을 빠르게 이어나갈 것으로 보이며 달러원 환율도 이에 동조하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글로벌 증시에서 기업들의 2분기 실적이 발표되며 저점을 지켜주는 모습을 보여 위험선호심리가 확대되는 모습은 원화에 긍정적인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재닛옐런 재무장관과의 면담은 한미 통화스와프 등 구체적인 조치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외환시장 이슈에 선제적 협력"하기로 하였고 한국의 외화유동성 상황은 여전히 양호하고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하고 양국이 필요시 유동성 공급장치 등 다양한 협력방안을 실행할 여력이 있다는 데 인식을 공유하는 등 향후 필요시 통화스와프를 실행할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럼, 힘찬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다가오는 7월 ECB, FOMC대기"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달러인덱스가 107.4pt로 하락하며 1317.4원(-8.7원)으로 하락했던 달러원 환율은 밤사이 유로화가 반등하며 달러인덱스가 추가약세를 보였음에도 뉴욕증시가 하락한 영향으로 소폭 상승한 1318.7원 역외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지난주 미CPI와 PPI가 시장예상치를 상회하며 다음주 FOMC에서 100bp금리인상이 커지며 급격한 달러강세를 보였으나 블랙아웃기간 전 연준위원들의 75bp금리인상 지지 발언을 내놓으며 100bp금리인상우려를 다소 완화시켰습니다.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는 "CPI보고서에서 발생한 일에 반사적으로 대응해 성급하게 정책결정을 내리고 싶지 않다"고 언급하였으며 제임스 불러드 연은총재는 "75bp인상을 선호하고 있다"고 발언하며 시장 불안심리는 완화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번주 21일 ECB도 본격적인 금리인상에 첫발을 내딛을 것으로 보입니다. 독일10년물 국채수익률이 1.23%까지 상승했고 이탈리아 10년물 국채수익률도 3.39%대로 상승하며 기준금리 인상을 선반영하고 있습니다. 다만, 유로존 에너지 공급위험이 커지고 있어 경기침체우려가 주요국대비 큰 것으로 보여져 급격한 금리인상을 하기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주 26~27일에는 미FOMC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100bp금리인상가능성이 후퇴한만큼 시장예상치인 75bp금리인상시 예상치에 부합한 수준으로 인식될 것이기에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 못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금일 재닛옐런 재무장관이 방한합니다. 반도체공급망 협력, 러시아제재성격의 러시아산 원유가격 상한제, 북한 추가제재 등이 다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의 시장참가자들은 '한미간 상시적 통화스왑'에 대한 니즈가 큰 것으로 보이나 미 재무장관의 권한 밖의 일이기에 언급은 있을 수 있으나 실현되기에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전일 국내 코스피 외국인 자금이 6천억원 가량 유입되며 그간 매도세를 다소 진정시키는 흐름을 보였으나 단발성 기술적 반등으로 보이며 적극적인 자금유입을 위해서는 달러원 환율이 1300원 밑으로 내려가야 원활한 증권자금유입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달러원 환율은 1310원 중반에서 외국인 수급동향과 위안화 흐름에 연동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럼, 좋은 하루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미CPI이은 PPI충격"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미6월 CPI 이벤트를 소화하며 1306원에 개장했던 달러원 환율은 지속되는 달러강세에 오후장 지속적인 상승을 하며 1312.1원에 서울환시 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이후 FOMC에서 100bp금리인상 확률이 80%수준으로 상승하며 오후 9시반경 미생산자물가지수도 최고치 수준인 11.3%로 발표되며 급격한 달러강세를 일으켰습니다. 전날 발표된 CPI와 더불어 PPI까지 급등하는 흐름을 보이자 시장은 급격한 미긴축우려를 보이며 달러는 109.298pt까지 1%넘게 상승하였으며 유로달러는 등가환율 1달러를 깨며 0.9950달러까지 하락하였습니다. 미 증시도 갭하락하며 -2%수준의 하락을 보이며 달러원환율도 1328원까지 급등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이후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인사와 제임스 불러드 연은총재는 시장을 달래며 75bp금리인상이 적절하다는 발언을 내놓았고 이후 빠르게 되돌림 현상이 나타나며 유로달러는 1.005달러로 반등하였고 원화도 1317원대로 반락하였습니다. 이에 7월 100bp금리인상 가능성은 40%대로 낮춰졌습니다.

연준의 독보적인 매파기조속 ECB와 BOJ등 주요 중앙은행은 정치적, 경제적이슈로 긴축에 제약이 따를 것으로 보여져 미달러강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또한 글로벌 경기침체우려가 커지고 있는가운데 유로존의 경우 러시아가 노르트스트림 가스관을 잠그며 유로존 경기침체우려가 더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증시는 -2%에서 약보합으로 마감하였고 나스닥지수는 강보합세로 마감하였습니다. 다만, 유럽증시는 -2~3%대의 큰폭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아시아증시도 위험회피심리가 커질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 전일 한국 증시에서 선물옵션만기일로 코스피시장에서 장마감동시호가에 +3500억원가량 외국인순매수가 유입되었으나 환율이 1315원 연고점수준에서 외국인의 주식자금이 추가로 유입될지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코스피 외국인 보유비율이 2020년초 39%에서 현재 30%수준으로 6년내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어 경기침체우려 둔화와 미긴축의 불확실성 해소, 달러원 환율의 일정수준레벨에 도달시 환차익을 노리고 자금유입이 이뤄질 수 있어 이후 시장흐름을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금일 달러원환율은 1310원 중반수준에서 개장 후 위안화흐름과 연동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달러와 유로화의 등가환율 공방 속 원화는 중국 위안화와 동조화하는 흐름을 보여 금일 발표되는 중국 2분기GDP, 6월 산업생산, 소매판매, 실업률 등 지표에 따른 위안화 흐름을 주목해야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음주 주요이벤트로는 ECB통화정책회의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1310원 중후반대까지 고점을 높인다면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나 역사적 고점을 경신하고 있는 환율에 따른 역내외 차익실현 물량이 나올 수 있어 역외 환율상승분만큼 서울환시에서 따라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럼 한주 마무리 잘 하시고 편안한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미CPI 9.1% 이벤트 소화"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한은 금통위에서 50bp 빅스텝으로 금리인상을 한 가운데 캐나다중앙은행도 100bp금리인상 하는 등 주요국들의 금리인상을 이어나가며 달러원환율은 1302.1원까지 하락하였습니다. 이후 오후장에서 미CPI발표대기를 앞두고 1306.9원에 서울환시를 마감하였습니다. 

 


미CPI는 전년대비 9.1%로 상승하며 예상치 8.8%와 이전 8.6%를 상회하며 시장에 큰 변동성을 주었습니다. 

발표직후 

미증시선물지수 0.2% -> -2.5%
달러인덱스 107.5pt -> 108.5pt
달러원환율 1302원 -> 1312원
주요통화들도 7월 FOMC에서 100bp금리인상할 가능성을 빠르게 반영하며 2시간 가량 큰 폭의 약세를 보였습니다. CME페드워치에 따르면 7월 FOMC에서 100bp금리인상가능성이 전일 9.7%에서 40% 확률로 큰 폭의 조정이 있었습니다.


이후 리치먼드연은총재는 "CPI너무 높아 성장보다는 인플레 통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발언을 하는 등 매파적인 FOMC를 예고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뉴욕 오후장 들어서는 이미 연준이 인플레파이터로 변화된 상황에서 9.1%의 미CPI지수발표에 불확실성해소로 인식하며 달러인덱스는 108pt로 하락하였고 미증시도 낙폭을 만회 후 약보합으로 마감하였습니다. 달러원환율도  CPI발표 후 1312원까지 급등 후 재차 1303원까지 반락하여 CPI발표직전 수준까지 하락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미10년물, 2년물 장단기 금리차가 200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경기침체 시그널이 지속되고 있어 7월 FOMC에서 어느수준의 금리인상이 이어질지 주목해야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달러원환율은 미 물가지표 충격에도 달러인덱스가 혼조를 보이며 1300원 초반수준에 시작하겠으나 1300원 초반대에 적극적으로 유입되는 결제수요와 저가매수세에 하단을 지지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제 7월 중순 빅이벤트는 지났고 다음주 21일 예정된 ECB통화정책과 28일 미FOMC일정이 시장에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ECB는 이달부터 금리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시장은 50bp이상의 빅스텝 금리인상을 기대하고 있으나 여의치는 않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미-유로존간 통화정책차별성이 재부각 될 가능성도 있어 이달말까지 달러지지흐름은 이어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비가 많이 옵니다. 안전운전하시고 힘찬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유로달러 1:1 패러티 가시권"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지난주 금요일 일본 아베 전 총리의 피습에 안전자산선호심리가 불거지며 1300원 위로 재차상승하여 마감했던 달러원환율은 역외에서 미 비농업부문 고용이 큰 폭으로 증가하며 경기침체우려가 다소 완화되며 -5원 하락한 1295원에 역외종가를 마감하였습니다.

이번주는 14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예정된 가운데 시장은 50bp 빅스텝 인상기대감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미국의 75bp금리인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국들도 50~75bp금리인상을 이어나가고 있어 한은도 50bp이상의 금리인상을 하지 못할 경우 자본유출우려가 불거지며 원화약세흐름이 재개될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 50bp금리인상이 시장에 선반영되어있는 상황으로 실제 빅스텝인상시 원화강세보다는 추가상승을 제한하는 재료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이번주 13일 미 6월 CPI발표를 앞두고 있어 5월 8.6%에 이어 얼마나 상승했을지 시장이 주목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시장예상치는 지난 5월보다 높은 8.8%로 예상하고 있으며 식료품과 에너지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대비 0.5% 상승수준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5월 CPI 8.6%보다 높은 8.8%로 예상하고 있으나 연준의 매파적기조가 이미 시장에 선반영되어 있는 상황으로 이번주 CPI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시장예상치 상회시 달러강세보다 하회시 달러약세로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달러인덱스는 현재 107pt로 유로존 경기침체우려로 유로화가 지난 한주간 2.3%하락하는 등 1:1 패러티 상황으로 몰리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미 연준과 ECB통화정책 격차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에 유로달러는 지난주 금요일 1.00710달러까지 하락해 2002년 이후 최저치를 재차 경신했습니다.

금주 달러원 환율은 1290원 중반수준으로 하락출발이 예상되나 결제수요와 저가매수 수요등 하단을 지지하는 흐름속 13일 미CPI, 14일 한은금통위 이벤트를 앞두고 보합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럼 힘찬 한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14일 금통위, 21일 ECB통화정책회의, 28일 FOMC"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이번주 1311원 고점을 기록한 달러원 환율은 전일 국내증시에 외국인 자금유입과 위안화 강세에 1299.8원에 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밤사이 달러인덱스는 107pt를 유지하였음에도 미증시가 큰폭의 상승을 하며 달러원 환율도 소폭 하락한 1297.5원에 역외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전일 발표된 6월FOMC의사록에서는 강도높은 금리인상과 인플레이션 대응의지를 확인하였고 7월 28일 예정된 FOMC에서 75bp금리인상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7월 5일 유로화의 20년내 최저치를 경신시 유럽증시가 폭락하였으나 6일, 7일 낙폭을 전부 만회하며 상승마감하였고 달러인덱스가 107pt를 넘어섰음에도 유로화를 제외한 주요국통화들은 강세흐름을 보이고 있어 시장차별화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유로화는 올해 초부터 11%가량 하락중에 있으며 1:1패리티 상황도 목전에 두고 있어 현재 달러강세영향이 주식시장과 주요통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제한적인 것으로 보여지나 경기침체우려로 주식시장이 하락시 그간 달러강세분을 한번에 반영할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

연준의 긴축이 28일 75bp 인상될 가능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ECB는 이달 21일 통화정책회의에서  어떤 행보를 보일 수 있을지 주목해야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지난달 통화정책회의에서는 7월에 25bp인상, 9월 50bp인상을 예고하였으나 ECB통화정책 회의록에 따르면 7월 통화정책회의에서도 50bp금리인상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 21일 ECB에서 75bp까지는 힘들더라도 50bp인상은 해줘야 시장기대치에 부합하는 결과로 보여지며 그 이하로 긴축시 유로화는 0.95달러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

한국도 14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두고 50bp빅스텝 금리인상 기대감이 형성되어 있으나 가계부채의 뇌관을 건드릴 가능성도 있어 고민이 깊을 것입니다. 시장예상치도 50bp인상이라 채권시장에서는 이미 선반영중이라 25bp만 인상시 시장충격이 발생할 수 있어 시장예상치에 부합한 금리인상을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국내 4%대에 육박하는 기대인플레이션과 6% CPI, 환율급등과 한미간 금리차에 의한 자본유출압력 등으로 금통위도 긴축드라이브에 힘을 실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달러원환율은 1311원의 역사적 고점을 경신 후 소폭 하락한 상황이나 추세가 꺽였다. 고점을 봤다. 고 판단하기는 어려워보입니다. 현시점에서 추가하락하기 위해서는 미긴축경로의 불확실성해소와 ECB의 적극적인 약세방어, 국내증시 외국인자금유입지속, 인플레 고점 찍었다는 인식 등 현시점에서는 녹록치 않은 재료들입니다. 달러원 환율은 1280원~1310원 수준에서 레인지를 형성하며 거래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럼, 한 주 마무리 잘 하시고 다음주 다시 인사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유로화 20년내 최저치 기록. 1:1패러티 가능"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국내증시에 3천억원 가량 외국인 매수세가 들어오며 코스피, 코스닥지수가 상승한 위험선호심리에도 달러원 환율은 전일대비 상승한 1300.3원에 서울환시 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미국의 독립기념일 휴장에 바이든의 대중국 관세인하 가능성 소식이 들려오며 위험선호심리가 불거졌으나 아직 계획단계인 상황으로 위안화 강세 움직임에서 약세로 돌아서자 이와 연동되며 달러원 환율은 고점을 높였습니다.

밤사이 독일의 31년내 무역수지 첫 적자소식과 함께 노르웨이 국영 에너지기업 파업으로 천연가스 가격이 상승할 것이란 우려에 유로존 경기침체우려가 불거졌고 유로스탁은 -2.5% 하락하는 등 유로존 증시가 큰 폭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이에 유로달러는 1.4% 하락하였고 달러인덱스는 106.5pt까지 1.25%상승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달러원환율은 이러한 글로벌 경기침체우려에 뉴욕장 개장 후 1315원까지 상승 후 미증시가 -2%하락에서 +1%로 상승전환하며 소폭하락하여 1309원으로 역외종가를 형성하여 전일대비 +9원 상승한채 마감하였습니다.

이는 지난 고점인 1303원을 넘어선 레벨이며 13년내 최고치를 재차 경신하였습니다. 글로벌 경기침체시 무역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경우 더 취약할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최근 독일의 증시흐름도 주요 유로존국가대비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는 점도 이와 같은 상황으로 인식됩니다.

현재 유로화는 1.025달러로 2002년 이후 20년내 최저치를 기록중에 있습니다. 2014~15년 미긴축으로 급락하며 지지했던 1.05달러를 깬 상황으로 전문가들은 1:1 패러티 상황까지도 가능한 것으로 보고있습니다. 현재 2%가량 추가하락시 1.0달러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보여지며 원화의 추가약세 가능성도 점증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전일 노르웨이 천연가스, 원유 생산 공급에 차질이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WTI 유가는 99달러로 -9%가량 하락하며 경기침체우려를 반영하였습니다. 씨티그룹은 배럴당 40불, 65불까지도 하락가능성에 대한 보고서를 내고 있는 상황인데요. 이는 현재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불거졌던 글로벌 인플레우려를 소폭해소시킬 가능성도 있어 긍정적인 재료로 인식됩니다.

원화가 약세압력을 받는 가운데. 현재 외환보유고도 전월대비 92억불이 감소하는 등 적극적인 외환당국의 개입이 이뤄지고 있으나 글로벌 외환시장흐름을 거스르지 않고 속도조절만 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현시점 원화강세요인으로 볼 수 있는 점은 이달 19일 예정된 재닛옐런 내한시 상시적통화스왑 개설, 14일 금통위에서 50bp 빅스텝 금리인상, 미국의 대중국 관세인하로 인한 위안화 연동 등으로 보여집니다.

금일 아시아장은 미증시 상승을 따라가기보다는 유럽장 하락을 반영하며 전일상승분을 되돌릴 것으로 보여집니다. 달러원 환율도 외국인 매도세에 따른 커스터디 물량에 따라 상승압력을 받을 것으로 보여지나 20년내 최고치를 찍고 있는 환율상승세에 외환당국의 구두개입과 실개입이 나오며 상승을 제한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럼, 힘찬 하루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달러원 1300원 공방"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지난주 1297.3원에 마감한 달러원 환율은 주말사이 역외에서 3원가량 상승한 1300원에 최종호가되었습니다. 지난주 달러인덱스는 1%가량 상승한 105pt에 마감하였으며 ECB의 긴축예고가 있었음에도 미국 연준의 긴축보다는 약하다는 의견에 유로화는 1.2% 하락마감하였습니다.

지난주 PCE지수가 시장예상치를 하회한 가운데 발표직후 인플레 우려를 되돌리기엔 역부족이였던 것으로 보여집니다. 최근 달러강세는 인플레이션 우려에 미 기준금리 인상 속 미 10년물 국채금리가 3.5%까지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으나 최근의 흐름은 경기침체우려가 부상하며 안전자산선호심리로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안전자산인 국채매수세가 몰리며 2.8%대로 급락하였으나 달러약세로 이어지지 못하고 달러강세가 유지되는 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달러원 환율은 외국인 증시매도세에 상승압력이 이어지고 있으나 지난주 국민연금의 환헤지소식에 달러수요가 소폭 완화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기존 국민연금은 해외투자시 환헤지를 하지 않아 외환시장에 달러매수수요로 참가하였으나 지난주 환헤지를 시행함에 따라 외환당국의 입김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여지며 이번주에도 국민연금 추가환헤지 소식이 들린다면 달러수요쏠림을 완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번주는 내일 5일 발표될 한국 CPI가 주목할 변수로 보여집니다. 한국도 50bp 빅스텝 인상가능성이 커질 수 있으나 한은의 매파적스탠스는 원화절상요인이나 최근은 경기침체우려가 커진 상황이라 빅스텝 금리인상이 오히려 달러원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어 시장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1300원 위에서는 레벨부담과 당국의 경계심리가 작용하며 1280~1300원 수준의 보합세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럼, 힘찬 한주 시작하시길 바립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