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환장인 :: '원화전망' 태그의 글 목록 (15 Page)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13년내 최고치 달러원환율. 상승압력 지속중"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지난주 1362.6원의 연고점을 경신한 달러원 환율은 역외에서 1356원까지 하락 후 위험회피심리가 재차 불거지며 미증시가 하락하였고 달러원환율은 보합세를 보이며 1362.4원으로 역외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미고용지표는 신규고용이 31.5만명 증가하며 시장예상치에 부합하였고 실업률은 3.7%로 전월 3.5%보다 조금 올랐습니다. 고용지표 영향력은 크지 않았으나 러시아의 노르트스트림1 운영중단 조치를 연장하며 유럽에너지위기가 다시 고조되며 유로달러는 재차 패러티를 깨며 0.99달러로 하락하였고 달러인덱스는 110pt까지 상승하며 2002년 5월이후 최고치를 경신중에 있습니다.

이번주 파월연준의장의 8일 발언부터 연준위원들의 기자회견이 예정되어있어 긴축에 대한 부담은 이어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8일 오후 ECB통화정책회의에서 물가급등 및 유로화추락에 대응해 75bp금리를 올리고, 매파적인 발언을 내놓을 전망이 제기되고 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상황은 ECB의 긴축스탠스를 저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달러원환율은 추석연휴를 앞두고 1360원대에서 추가상승시도를 이어갈 것으로 보여집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와 이창용 한은총재가 개장전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를 통해 구두개입을 하였습니다. 지난주 한국 무역적자소식에 원화가 타 통화대비 큰 폭의 약세를 나타낸 만큼 당국의 매도개입이 힘을 받을 수도 있어보입니다.

아래 PDF파일은 9월 이벤트 캘린더로 금융기관전망치와 9월이벤트를 정리하였습니다. 국내외금융기관들이 8월말 발표한 전망치에 따르면 국내기관은 9월 평균 1317~1372원을 예상하며 해외IB는 1322~1345원 수준의 환율흐름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파일을 참고해주세요.

 



그럼, 힘찬 한 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연일 계속되는 연준 매파적 스탠스"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중국의 위안화약세방어의지를 들어내며 위안화가 6.8위안대로 하락하며 달러원환율도 커플링되며 1337.6원에 서울환시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파월연준의장의 잭슨홀미팅에서 "9월 FOMC에서 이례적 금리인상이 있을 수 있다. 경기침체, 고용부진보다 인플레이션을 최우선 대응하겠다"는 매파적 발언으로 시장에 큰 충격을 준 후 시장참가자들의 질책을 받는 상황입니다. 연준위원들도 기자회견에서 파월의장과 같은 매파적인 스탠스를 드러내며 달러인덱스가 108.7pt로 유지를 하고 있습니다.

시장참가자들은 CPI둔화에 따라 긴축기조가 후퇴하고 경제지표악화에 따른 경기침체가능성이 내년에는 금리인상을 멈추고 인하로 돌아설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었으나 이를 되돌리는 모습입니다.

파월의장과 연준위원들이 매파적인 스탠스를 보이는 이유는 시장의 심리를 압박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최근 둔화모습을 보이는 물가상승률이지만 여전히 높은 상황이며 현상황에서 자칫 완화된 비둘기파적인 입장을 내비친다면 금융시장은 반짝 위험회피심리로 환호할 수 있겠으나 인플레 잡는데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어 시장심리를 꺽어 빠르게 인플레를 잡는것이 더 낫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미 긴축기조에 이어 ECB도 9월 통화정책회의에서 75bp금리인상 가능성이 대두되며 유로화약세방어가 되고 있으나 유로존 에너지난에 경기침체가능성이 높아져 75bp금리인상은 힘들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미연준의 경우 파월의장의 '이례적인 금리인상'발언이 있었으나 75bp가 최대치로 보여집니다. 현재 CME페드워치에 따르면 9월 FOMC에서 75bp금리인상가능성이 70%, 50bp금리인상가능성이 30%로 반영되어 있어 금융시장은 75bp금리인상쪽으로 선반영되어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달러원환율은 전일 1352.3원의 연고점을 기록하였으나 1350원 위에서 강한 외환당국의 매도개입의지를 확인하였고 고환율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의 증권자금이 유입되고 있는점은 원화에 상당히 긍정적으로 보여집니다. 국내 코스피, 코스닥 지수가 지난해 6월 고점대비 -30%가량 하락하는 상황에 외국인보유비중을 많이 줄여놨고, 원화약세도 20%가량 진행된 상황이라 국내주식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것으로 보여져 원화약세가 자본유출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본이 유입되는 레벨로 인식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코로나와 경기침체우려에도 국내 기업들의 2분기 실적이 역대치로 호조를 보인점도 외국인투자자들 입장에서 긍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달러원환율은 밤사이 미증시하락에 따른 위험회피심리로 1340원대 위에서 개장하겠으나 위안화흐름, 외국인의 증권자금흐름에 연동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벌써 9월입니다. 아침저녁으로 쌀쌀하네요. 환절기 건강유의하시고 힘찬 한 달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지난주 1331.3원에 마감한 달러원 환율은 잭슨홀미팅에서 파월연준의장의 매파적 발언에 반응하며 역외에서 10.4원 상승한 1341원으로 역외종가를 마감하였습니다.

<잭슨홀미팅 파월연준의장 발언>
1. 9월 금리, 데이터에 따라 달라질 것
2. 7월 인플레완화 환영, 연준 전망 바꾸기는 불충분
3. 어느시점에 연준금리인상 속도 늦출수도
4. 물가안정회복에는 시간걸려. 연준 강력한 조치 필요
5. 가장 중요한 목표는 인플레 낮추는 것
6. 인플레 낮추는 노력, 경제에 약간의 고통 가져올 것
7. 다음 회의에서 또다른 이례적인 큰 폭 금리인상 적절

당초 시장전망은 CPI완화에 따라 파월연준의장이 금리속도조절 발언과 함께 9월 50bp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시장전망과는 다르게 완화된 CPI가 여전히 높고 경제가 다소 망가지더라도 인플레 잡는 것을 최우선시하겠다는 매파적인 스탠스에 미증시하락과 달러강세를 이끌었습니다.

나스닥은 -4%, 다우 -3%, S&P -3.3%의 큰 폭의 하락을 보였고 달러인덱스는 전장대비 0.4%상승한 108.82pt를 기록하며 유로달러가 재차 패러티 아래로 내려갔습니다.

50bp금리인상 가능성은 전주 53%에서 39%로 하락한 반면 75bp금리인상 가능성은 전주 47%에서 61%로 상승하며 9월22일 FOMC에서 75bp금리인상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달러원환율은 달러인덱스가 108pt로 상승한 영향에 1340원 초반대 갭상승출발할 것으로 보이나 주초반 외환당국의 방어움직임과 한달반 국내증시에 5.4조원 유입지속되던 외국인증권투자자금의 이탈에 따라 추가상승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어보입니다.

최근 가파른 원화약세에 외환당국 뿐 아니라 이례적으로 대통령도 구두경고를 내놓은 상황으로 볼 때 증시불안에 연동한 달러원 상승에 개입이 강하게 들어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 연준의 긴축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외국인자금이탈과 외환당국의 개입강도에 따라 추가상승가능성이 있어보이나 75bp금리인상가능성에 대해서도 시장이 선반영된 측면도 있어 추가상승보다는 보합 이후 시장흐름을 따라갈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럼, 힘찬 한 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13년내 최고치 찍은 달러원 환율. 추가상승 가능성"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지난주 연고점 수준으로 상승했던 달러원환율은 역외에서 연준위원들의 매파적 기조에 연고점을 경신한 1336원까지 급등하며 역외종가를 마감했습니다.

월초 CPI의 하락세로 연준긴축완화 기대감으로 1300원 밑으로 2차례 하락하였으나 연준위원들의 긴축의지를 재확인하며 긴축완화 기대감이 다소 후퇴하였으며 7월FOMC의사록에서 2023년 금리인하 기대감을 불식시키며 달러강세재개에 힘을 보탰습니다.

달러원환율이 1300~1320원 박스권에서 위안화가 중국경기둔화와 완화적 통화정책에 6.84위안가 상승하며 원화약세를 이끌었고 달러인덱스도 108pt까지 상승하며 원화약세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유로존 경기침체 가능성 또한 높아지며 유로달러는 1유로당 1달러 패러티 수준에 도달한 상황이며 글로벌 에너지 위기와 경기침체 우려에 연준의 긴축의지까지 더해져 원화약세요인이 산재해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번주 25일 한은 금통위가 예정되어 있으나 25bp금리인상이 예상되어 있지만 이미 예상된 부분이라 원화강세요인으로 작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여집니다. 26일부터 잭슨홀 미팅이 3일간 이뤄져 파월연준의장의 발언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다만, 파월연준의장의 '지표에 따라 결정할 것이다'는 원론적인 발언만 이어갈 것으로 보여져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환율이 13년내 최고치에 다다르고 글로벌 증시도 그간 상승분을 되돌리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어 시장불안감이 더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지난주 환율 상승에 대해 "여타 통화흐름과 크게 괴리되지 않았다"는 발언을 하여 당분간 외환당국의 매도개입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결국 이번주 후반 잭슨홀 미팅과 미경기지표를 확인하며 달러인덱스를 추총하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럼, 힘찬 한 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미CPI 하회. 달러인덱스 1%대 급락"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미CPI 지표발표를 앞두고 1310원까지 상승했던 달러원환율은 밤사이 CPI지수가 시장예상치보다 둔화된 영향을 받으며 역외에서 12.8원 하락한 1296.8원에 최종호가되었습니다.


7월 CPI지수는 전년동월보다 8.5%상승하며 40년내 최대치였던 전월 9.1%보다 둔화되었고 시장예상치인 8.7%보다 낮은수치로 발표되며 9시30분 발표직후 달러인덱스는 106pt에서 104.5pt까지 1%이상 급락하였고, 미증시선물지수는 +2.5%대로 급등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유가가 배럴당 120불에서 90불로 안정된 흐름에 물가 급등세가 정점을 찍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 식품을 제외한 코어CPI도 전년동월보다 5.9%로 시장예상치인 6.1%를 하회하는 수준으로 발표되었습니다.

다소 완화된 물가지표에 연준은 기존 매파적인 행보를 다소 완화할 것이라는 기대가 형성되었으나 시카고연은총재는 "물가 안정이 긍정적"이라고 평가하면서 "여전히 너무 높다"고 발언하며 인플레이션을 연준 목표치인 2%로 되돌리기 위해 내년까지 계속 금리인상 할 것이란 발언을 이어가 달러인덱스 하락폭이 소폭 축소되었습니다. 

전일 CPI지수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여전히 8.5%의 높은 수준임과 연준위원들의 매파적인 발언이 지속되고있어 일각에서 나오는 내년 금리인하가능성은 거의 없어보입니다. 그럼에도 시장에서 달러급락과 미국채금리도 단기물 위주로 하락하며 경기침체시그널인 장단기금리차를 확대시켰고 주식 등 위험자산은 급등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달러원환율도 1300원 아래에서 시작한 만큼 롱스탑이나 숏베팅이 나올 수 있어보입니다. 기존 1300원대 아래에서는 꾸준한 결제수요가 발생하였으나 달러인덱스의 반락과 9월22일까지 FOMC가 길게 남아있는 상황으로 조금 더 아래쪽 레벨로 봐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국조선해양이 전일 2조원의 대형수주 소식이 들린만큼 선물환 매도물량 출회 기대감도 달러공급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지는 반면 다음주 16일 삼성전자의 10억불가량 외국인 배당금 지급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미CPI 발표대기 1300원 보합"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1300원 공방을 이어가고 있는 달러원 환율은 금일 9시 30분 미CPI발표를 앞두고 1307원으로 역외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7월 CPI 예상치는 8.7%로 6월CPI 9.1%대비 소폭하락할 것으로 시장참가자들은 예상하고 있어 예상치에 부합하는 지표발표시 시장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이나 인플레이션이 고점을 찍었다는 인식이 확산될 경우 9월22일 예정된 FOMC에서 연준의 긴축속도 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금융시장에 주요한 이벤트로 보여집니다.

9월 FOMC에서 50~75bp금리인상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고 현재 75bp금리인상 가능성이 68%로 상승하였습니다. 

최근 미증시가 반등 후 보합권에 머무는 가운데 한국증시는 외국인매수세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습니다. 연초부터는 6월말까지 -6.5조원 매도세에서 7월초부터 현재까지 +4조원 유입되며 지수방어를 하고 있어 외국인 자금유입은 커스터디물량으로 나오며 달러원 환율의 상단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IMF에서 전일 대외부문 보고서 한국관련 평가가 나왔습니다. 
1. 21년 경상수지 GDP대비 +4.9%는 중기적 펀더멘털에 부합하는 수준이고 순대외금융자산 GDP대비 36.4%는 자산군별 적정하게 다변화 된 것으로 평가
2. 21년 실질실효환율은 1%가량 고평가 상태였던 것으로 추청. 외환보유액 4631억불은 대외충격을 견딜만한 적절한 수준
3. 22년 경상수지 흑자축소 +2.8%, 원화 저평가 영역 진입 예상. 한편, 원화약세에 순대외금융자산이 증가하는 등 대외 B/S는 개선 기대
이상으로 발표되었습니다. 특히나 3번의 경우 한국의 순대외금융자산이 플러스인 상황으로 원화약세로 인한 평가익이 더 커져 금융시장안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달러원환율은 금일 밤 미CPI이벤트를 대기하며 1300원 초반대 수준의 흐름을 보일 것으로 보이나 장중 중국의 대미관련 발언이 나올 경우 미중갈등우려 속 위안화약세흐름을 따라 원화도 커플링 될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

최근 수도권에 큰 비가 오고 있습니다. 안전하고 편안한 하루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미CPI지표발표 대기장세"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지난주 달러원 환율은 1300원을 하향이탈하며 1298.3원에 마감하였습니다. 이후 미 고용보고서를 대기하며 1293원까지 역외에서 하락하였으나 미 신규고용이 53만명으로 시장예상치의 두배로 발표되며 달러인덱스는 106.6pt로 1%가량 상승하였고 달러원환율도 1305원대로 상승하며 역외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미 고용지표가 호조를 보이자 연준이 9월 FOMC에서 75bp 인상 가능성이 기존 19%에서 52%까지 상승하며 시장은 연준긴축우려를 반영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이번주 10일 발표예정인 미CPI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CPI로 물가를 확인 후 연준의 긴축속도를 재가늠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시장예상치는 전년동월비 8.7%로 6월 9.1%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CPI지수가 정점을 지났다는 판단이라면 달러원 환율이 하락할 것으로 보이나 그렇지 않다면 달러강세의 추가적인 흐름이 나올 수도 있어보입니다.

지난주 국내 외국인 증권자금이 1.5조원 유입되는 등 원화강세요인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국제유가 WTI도 배럴당 88불 수준으로 우크라이나 침공 이전 수준이며,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으로 인한 미중갈등도 영향력이 줄어들고 있어 원화강세에 양호한 흐름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1300원 아래에서는 강한 결제수요와 미 연준의 자이언트스텝 가능성에 하단이 지지되는 흐름이 이어져 방향성을 돌리는 상황보다는 당분간 1290~1310원의 레인지 장세를 띌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그럼, 힘찬 한 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WTI 87불. 우크라이나 이전 수준"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펠로시 미 하원의장의 대만방문으로 미중갈등이 불거질 가능성에 잠시 위험회피심리가 발생하였으나 중국의 대응이 미국보다는 대만에 집중되며 시장은 안도하였고 글로벌 증시는 소폭 상승세로 마감하였습니다.

달러원 환율은 미 연준위원들의 매파적발언 속 1310원 위로 올라서며 서울환시를 마감하였으나 밤사이 영국BOE에서 50bp 금리인상을 단행하였고 미 10년물 국채수익률이 2.66%로 하락하며 달러약세를 이끌었습니다. 달러인덱스는 105.7pt로 0.6%가량 하락하였고 달러원환율은 1303원으로 전일대비 -7원가량 하락하며 역외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낸시 팰로시 미 하원의장의 대만방문에 따른 지정학적리스크는 아직까지는 설전에 그치며 본격적인 미중갈등으로 확산되지는 않는 모습입니다.

국제유가 WTI는 배럴당 87달러로 2.3% 하락하며 우크라이나 전쟁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 왔습니다. 국제유가하락은 글로벌 경기침체우려에 수요둔화우려가 불거지며 하락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경기침체우려로 하락한 유가이지만  유가를 필두로 원자재 가격하락이 물가상승률을 둔화시킬수 있어보여 유가하락은 금융시장에 긍정적인 재료로 보여집니다.

달러원환율은 1300원대에서 공방을 펼치고 있으나 7월에 이어 8월에도 외국인 증권자금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어 하방압력을 가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금일도 위안화흐름과 증권자금수급에 따라 1300원 하향이탈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일 밤 미 고용지표발표가 예정되어 있어 시장예상치를 상회할 경우 경기침체우려를 완화시킬 수 있어보입니다.

그럼 한주 마무리 잘 하시고 즐거운 주말보내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1300원 수급공방.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지난주 1300원을 하향이탈했던 달러원 환율은 전일 1300원 밑에서 결제수요와 저가매수세가 유입되며 재차 1300원 위로 상승한 1304원에 마감하였고, 밤사이 위안화 약세에 더불어 달러원 환율도 1309원으로 +5원가량 상승한채 마감하였습니다.

7월 FOMC이후 달러인덱스는 107.43pt에서 전일 105.40pt로 1.8%가량 하락하며 상당폭 하락하였습니다. 또한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차츰 회복되며 글로벌 증시상승세에 국내 외국인 투자자금도 유입되며 1300원 하방압력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전일 달러인덱스도 -0.4%가량 하락하며 약세를 보였음에도 국내 외환시장에 결제우위 수급에 따른 하방지지력이 상당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글로벌 달러강세압력이 완화되고 국채수익률도 안정적인 흐름에도 불구하고 원화강세는 제한적입니다. 이는 지속되는 무역수지 적자흐름과 연기금과 개인의 해외투자 지속에 따른 매수우위 수급흐름이 이어지고 있어 제한된 하락흐름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미 경제지표가 빠른 속도로 경기침체신호를 나타냄에 따라 연준의 자이언트스텝 금리인상을 멈추고 긴축스탠스가 다소 완화될 것으로 시장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음 9월에 있을 FOMC에서 50bp금리인상 가능성을 93%로 반영하며 75bp금리인상 가능성 7%를 크게 상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연준위원들은 "경기침체가 아니다."라는 입장이지만 PMI지표가 2년내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경제지표가 둔화되고 CPI, PCE지표가 정점을 찍었다는 인식 속 연준의 매파적인 스탠스가 다소 완화될 가능성도 높아보입니다.

다만, 최근 달러인덱스 하락에도 불구하고 유로화나 주요국에는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원화나 위안화 등 신흥국 통화는 달러약세영향력이 덜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는 글로벌 경기침체우려에 신흥국 데미지가 더 클 것으로 보여져 나타나는 현상이라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국제유가가 배럴당 93불로 하락하는 등 원자재 가격상승이 다소 둔화되고, 연준의 긴축강도가 정점을 지났다는 것에서 완만한 달러약세에 달러원 환율도 추가적인 하락을 할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그럼, 힘찬 하루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미FOMC의 파월연준의장의 기준금리인상 속도조절 가능성에 글로벌 증시상승과 달러가 약세흐름을 보이며 달러원 환율이 7월초 이후 1300원을 깨고 1296.1원에 서울환시 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밤사이 연준의 75bp금리인상을 소화하며 미 2분기 GDP가 2개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경기침체국면으로 빠진 것으로 보여 미장 오전중에 증시하락과 달러강세를 보였습니다. 다만 2분기 PCE지수는 전기대비 7.1%상승하였고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PCE지수는 4.4%를 기록하며 1분기 5.2%를 하회하는 모습에 인플레 정점을 찍었을 것이라는 안도감에 미증시는 회복하였고 달러원 환율도 1305원까지 상승 후 1296원대로 재차 하락하였습니다.

달러인덱스는 지난 14일 109.29pt 고점으로 2002년 이후 최고치를 찍은 후 현재 106.21pt거래되고 있습니다. 달러가 추가로 약세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유로화의 강세가 필요한 상황이나 현재 러-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하여 유로존 상황이 여의치 않아보여 추가적인 달러약세는 러-우크라이나 사태의 진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달러원 환율은 한미 금리역전차에도 불구하고 제한적인 영향을 보일 것이란 시장기대에 하락흐름을 보였고 전일 국내 코스피시장에 외국인의 자금 4천억원이 유입되는 등 원화강세에 우호적인 모습입니다. 국내 기업들의 2분기 실적발표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예상밖의 호실적을 보이고 있어 외국인 자금유입도 7월 당월 2조원유입으로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원화는 선진국의 긴축강화, 러시아 전쟁 장기화 등 강세재료가 부족해보입니다. 7월 1~20일 수출은 전년대비 14.5%증가하는 모습이였으나 무역수지는 -81억불 적자를 기록하며 올해 누적 -185억불의 적자를 기록중에 있어 8월 계절적 요인으로 경상수지가 줄어들 것으로 보여지고, 코로나 재확산 등 달러원 환율의 하단을 지지하는 요인이 더 많아보입니다.

아래 그림파일은 7월FOMC에 대한 내용을 정리한 사항입니다. 참고해주세요.

그럼 한 주 마무리 잘 하시고 편안한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