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새벽 1시 10분경(한국시간) 미 트럼프의 주요국에 대한 상호관세율 통보에 달러인덱스는 97.5pt로 상승하였습니다. 달러원 환율도 속동하며 1375원 수준에서 마감하였습니다. 이후 관세유예기간을 당초 7.9일에서 8.1일까지 연장되며 협상기간이 더 늘어나긴 했으나 통보를 받은 국가들 대부분 고율관세 위협에 해당통화는 약세를 보였습니다.
한국과 일본을 콕 찝어서 25%로 발표되었으며 지난 4월 초에 발표된 내용과 같은 수준입니다. 영국, 베트남을 제외한 주요 대미무역흑자국 중 한국, 일본과의 무역합의 진척사항이 더딘 상황으로 8.1일까지 의미있는 합의를 위한 포석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전일 달러원 환율은 오전에 1360원 초반에서 1368원대 마감 후 역외 상승분까지 감안하면 0.73% 상승한 것으로 보여지며 일본 엔화도 0.7% 상승한 146엔으로 올랐습니다.
미증시는 관세불확실성에 다우, 나스닥, S&P지수 모두 -0.9% 내외 하락하였습니다. 위험회피심리로 미증시 하락하였고 이는 금일 아시아증시에도 영향을 미쳐 증시조정을 받을 수 있어보입니다.
국내 코스피는 지난 4월 2300pt에서 신정부출범 기대감에 외국인매수세가 가세하며 21년 9월 이후 3100pt를 넘어서는 급등을 보였습니다. 국내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신정부의 코스피 5000pt 언급이 시장기대감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한국경제에 대한 우려는 큰 상황이라 3000pt에서 추가상승할 모멘텀이 부족해보입니다.
최근 추경 31조원을 통해 국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2%p 끌어올리며 2025년 1% 수준의 경제가 성장할 수 있어보이나 여전히 낮은 개인소비지출과 미관세압력에 의한 수출둔화 우려가 있어 이번 8월1일까지 미국과의 무역합의가 중요한 아젠다가 될 것입니다.
이미 4월 이후 대미 수출금액이 줄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내수시장침체에 대외수출까지 둔화된다면 원화약세 압력이 더해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금번 추경을 통한 내수경기진작과 8월 1일까지 완만한 무역합의를 통해 관세율을 10%로 맞춘다면 여타 주요국대비 낮게 설정된 것으로 보여져 상승폭이 둔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번달 월말 미FOMC에서는 지난달 금리인하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었으나 지난주 7.4일 고용지표가 호조를 보이며 금리동결가능성이 96%로 상승하며 금번 FOMC에서는 금리동결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차기 연준의장 지명 등 뉴스들이 계속 나오고 있고, 연준위원들의 비둘기파적 발언이 이어져 9월 FOMC에서는 금리인하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보여져 달러약세요인으로 선반영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달러원환율은 지난 4월 초 1487.60원 연고점 이후 100원 이상 하락하며 현재 단기하락추세에 놓여있으며 6월 중순 1385원 수준의 최근고점 상단테스트를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6월 반기말 네고물량에 1347원까지 하락했던 달러원환율에 +30~40원 상승에 강한 네고물량 출회가 예상되어 상승속도를 제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럼, 좋은 하루 시작하십시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외환시장 관찰기록 > 환율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624 달러환율전망 "이스라엘-이란 24시간내 휴전" (2) | 2025.06.24 |
---|---|
250623 달러환율전망 "이란 공습에 한국경제 긴장" (1) | 2025.06.23 |
250616 달러환율전망 "외환시장 새로운 재료. 이스라엘-이란 전쟁" (0) | 2025.06.16 |
250612 달러환율전망 "조급한 미국. 미중합의 결론" (2) | 2025.06.12 |
250602 6월 외환시장 전망 (1) | 2025.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