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지난주 트럼프의 관세발표 후 금융시장의 극심한 변동속 이번주 9일 발효예정인 상호관세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상황입니다.
트럼프 당선 후 미증시는 11조달러가 증발하였으며 4.3일 4일 이틀에만 6.6조달러(1경원) 증발하며 미국 전역에서 수십만명이 트럼프 반대 시위를 펼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일 미증시 주요지수는 -6% 추가하락한 상황이며, 금일 오전 미 선물지수도 -4~5% 하락하는 중에 있어 아시아증시도 폭락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여집니다.
달러인덱스는 미국의 4.2일 관세발표 후 101pt까지 급락 후 현재 중국의 34%보복관세과 희토류 수출금지 등 무역분쟁이 격화되자 102.6pt까지 상승하였습니다. 달러원 환율은 금요일 저점 1430원 기록 후 역외에서 +26원 급등하여 1460원대로 치솟았습니다.
그간 달러스마일 효과로 글로벌경기침체 우려 또는 안전자산 선호심리로 달러강세를 보였던 상황과는 다르게 미국의 전방위적 보호무역조치가 미국의 경기침체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되어져 달러패권이 흔들리는 것처럼 움직였습니다.
미증시폭락과 경기침체우려에도 불구하고 트럼프는 "버텨라"며 굳건한 의지를 나타냈는데요. 금번 관세조치는 자국내에서도 큰 반발에 부딪히고 있어 4.9일 발효일까지 주요국들과의 협상을 통해 다소 완화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지난주 윤석열 대통령 탄핵으로 정국불안이 다소 완화되었으나 미국에서 쏘아올린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무역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경우 가뜩이나 낮아진 경제성장률에 악영향을 미쳐 0%대 경제성장률 전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달러원 환율은 연초부터 하단지지선이였던 1430원을 딛고 상승하며 관세이슈를 소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으로 시장에서는 30~50원 가량 상승영향을 판단하고 있어 금번 탄핵으로 달러인덱스와 눈높이를 맞추겠다 생각하였으나 주요국통화들의 약세에 원화도 동조하는 모습입니다.
이번주초는 미국을 대상으로 한 주요국들의 보복조치 또는 협상진행상황에 따라 달러화 움직임이 결정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지난주 미 비농업고용자수는 22.8만명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실업률은 4.2%로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이번주 목요일 미국의 CPI는 3월달 일부 반영된 관세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여 향후 미국의 경기침체가능성과 인플레이션 상황을 예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 한 주 힘차게 시작하십시오. 감사합니다.
'외환시장 관찰기록 > 환율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403 달러환율전망 "글로벌 깡패. 상호관세 부과" (1) | 2025.04.03 |
---|---|
250401 달러환율전망(월간전망) "상호관세 D-1 달러향방" (0) | 2025.04.01 |
250331 달러환율전망 "공매도 재개. 외환시장 영향" (1) | 2025.03.31 |
250325 달러환율전망 "정국 불안에 한국 CDS 5Y 급등. 원화약세" (0) | 2025.03.25 |
250320 "3월 FOMC 정리. 비둘기파 해석"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