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달러인덱스가 지난주 금요일 밤 99.005 저점을 기록하며 22년 4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였습니다. 이에 달러원 환율도 역외에서 급락하며 1421원에 역외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그간 미국예외주의를 외치며 달러강세를 보였던 흐름에서 70년내 소비자심리 최저치. 기대인플레이션 44년내 최고치 등.. 미국의 경기침체우려가 증폭되며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채, 주식, 달러등 트리플약세를 보이며 '탈달러'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4.10일 트럼프의 '90일 유예'의 가장 큰 이유로는 미국채금리 급등입니다. 주식시장이 연일 하락할 때 트럼프는 "버텨라! 더 좋은 상황이 올것이다"라고 발언하였으나 안전자산심리로 10년물 국채금리가 3.9% 수준까지 빠졌다가 4.5%로 급등(미10년물 듀레이션 8.5 감안시 채권가격 5%이상 급락)하자 관세 강경자인 피터 나바로를 경질하고 관세 온건파인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를 무역협상지위를 부여하였습니다.
4.10일 발생한 미채권매도세력은 헤지펀드들의 대량 채권매도로 파악되며 각국의 중앙은행들의 채권매도도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습니다.
2018년 미중갈등시 양국간 관세전쟁이였던 반면, 2025년 미국의 관세정책은 우방국을 포함한 전세계에 관세를 부과하며 적을 너무 많이 만든 것 같습니다. 큰 무역교역국인 멕시코, 캐나다부터 EU도 보복관세조치를 발표하는 등 EU-중국 교역룐, 한중일 FTA, 중-캐 무역동맹 등 미국의 헛발질이 중국 시진핑에 더 도움이 되는 듯한 모습입니다.
트럼프는 자국내에서도 이번 관세정책에 대한 큰 비판에 직면하고 있으며 '중국과의 빠른 합의'를 원한다는 제스쳐를 취하고 있어 이번 국채금리 급등이 트럼프의 약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미국채를 보유한 외환보유액으로 일본이 1.2조달러, 중국이 0.76조달러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도 외환보유액중 0.28조달러 가량 보유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미국과 가장 가까운 동맹국으로 "미국채를 매각 안돼!"라는 기사들이 나오지만 중국의 경우 미국채를 대량 매각에 나설경우 국채금리상승압력이 더해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2017년 중국의 미국채규모는 1.1조달러에서 현재 0.76조달러까지 0.3조 달러가량 줄어든 상황입니다.
오락가락하는 트럼프의 관세정책에 많은 미국투자자들은 미국자산을 파는 형국입니다. 변동성도 커지고 있고요.
달러원 환율도 달러인덱스 약세를 따라가며 하락압력을 받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달러인덱스와 단순 상대비교시 24년 9월 수준인 1300원 초반입니다. 다만, 국내정국 불안과 중국의 위안화 절하 동조화, 저가매수 결제수요, 서학개미 환전 수요 등 낙폭을 제한하며 향후 미중간 무역분쟁 진행상황을 대기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아래는 트럼프의 관세지침이 되었던 24.11월 발표한 백악관경제자문위원 스티브미란의 41페이지 보고서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저 보고서대로 점진적인 관세정책을 진행했다면 현재와 같은 금융혼란은 없었을 것으로 보이나 강경파의 주문대로 발표되어 금융위기 전단계까지 갔다 온 것 같습니다. 아래 자료는 요약본이며 원문 필요하시면 요청해주시면 전달드리겠습니다.



그럼, 좋은 한 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외환시장 관찰기록 > 환율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410 달러환율전망 "트럼프 풋! 관세 90일 유예. 중국 넌 남아" (0) | 2025.04.10 |
---|---|
250407 달러환율전망 "버텨라!" 라는 트럼프에 수십만 시위대 결집 (0) | 2025.04.07 |
250403 달러환율전망 "글로벌 깡패. 상호관세 부과" (2) | 2025.04.03 |
250401 달러환율전망(월간전망) "상호관세 D-1 달러향방" (0) | 2025.04.01 |
250331 달러환율전망 "공매도 재개. 외환시장 영향" (1)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