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FOMC에서는 금리를 만장일치로 동결했습니다. (4.25%~4.50%)
성명서에서는 경제전망이 불확실하다 라는 표현에서 경제 전망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증가했다고 문구가 변경되면서 관세 불확실성으로 경제 전망이 어려워 졌다는 점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가 되었습니다. 또한, 4월부터 연준의 양적긴축(QT) 속도를 낮추기로 결정되었습니다. 국채 보유량 축소 속도를 종전 250억 달러에서 50억달러로 축소하는 상황입니다. 이로인해 3월 FOMC는 비둘기파적으로 해석이 되었습니다.
연준의 분기 경제 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낮춰지는 한편 근원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상향한 점은, '스테그 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다만, 파월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경기침체와는 거리를 두었습니다.
미 달러화 지수는 FOMC전 터키 정국 불안(이스탄불 시장 테러연류혐의로 체포)에 따른 위험회피심리로 104선 목전까지 올라갔으나, FOMC성명이 비둘기적으로 해석되면서 상승폭을 반납했습니다. 달러원 환율 또한 전일 새벽 2시 종가가 1463원까지 올랐으나, NDF에서는 1456.75원에 최종 호가 되며 상단을 낮췄습니다. 뉴욕증시는 비둘기적 FOMC 해석에 3대지수가 동반상승하였습니다.
[FOMC정리]
1. 만장일치 금리동결 (4.25%~4.5%)
2. 성명서에서 '경제전망을 둘라싼 불확실성이 증가했다'문구변경
3. 4월부터 양적긴축(QT)속도 느리게 하기로 결정. (월 국채 상환한도 기존 250억달러->50억달러로 축소)
4. 점도표 상에서 미국의 경제성장률 기존 2.1%에서 1.7%로 대폭 하향 조정. 반면 인플레이션 전망은 소폭 상승 조정. 스테그 플레이션 가능성 자극할 수 있는 요인
5. 파월 기자회견에서 스테그플레이션은 아직 아니라고 언급. 다만, '관세로 인플레이션 완화가 지연될 수 있다. '발언하며 불확실성 키움.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외환시장 관찰기록 > 환율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331 달러환율전망 "공매도 재개. 외환시장 영향" (1) | 2025.03.31 |
---|---|
250325 달러환율전망 "정국 불안에 한국 CDS 5Y 급등. 원화약세" (0) | 2025.03.25 |
250317 달러환율전망 "트럼프 침묵, 주식시장 환호" (0) | 2025.03.17 |
250313 달러환율전망 "달러인덱스 못따라가는 원화 불안" (2) | 2025.03.13 |
250306 달러환율전망 "달러인덱스로 본 달러원환율 1400원 + 계엄환율 30원" (1)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