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환장인 입니다.
금일 새벽 뉴욕증시는 미 트럼프의 상호관세 발표를 대기하며 상승마감하였으나 장 마감 후 트럼프의 상호관세 방침을 공개한 후 S&P, 나스닥 선물지수는 -4.2%대 급락을 하고 있고 달러원 환율도 위험회피심리를 반영하며 1467원대 거래되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최소 10%의 상호관세를 모든 국가에 부과했으며, 한국은 25%로 책정되었습니다. 중국 34%, 일본 24%, 유럽 20%, 인도 26%, 남아공 30%, 인도네시아 32%, 스위스 31%, 베트남 46% 수준입니다. 영국, 싱가포르, 브라질은 기본관세인 10%를 적용받았습니다.
아래 그림파일은 미국 백악관 X계정에 올라온 각 나라별 상호관세 부과 현황표 입니다. 환율조작과 무역장벽을 포함하여 미국에 부과되는 한국관세는 50%로 판단하고 미국의 할인된 관세는 25%라니.. 참 글로벌 깡패가 따로 없는 듯 싶습니다.
그나마 발표 전에는 모든 수입품에 20%의 단일 세율이 적용될 예정에서 10%로 낮춰진 점, 기본관세는 5일부터, 상화관세는 9일부터 발효될 예정이고 현재 발표된 상호관세가 '상한선' 역할을 하며 각국과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유럽연합, 중국 등 주요국들의 보복관세 대응이나 무역분쟁이 격화될 가능성도 있어 글로벌 위험회피심리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한국의 경우 25% 관세 부과에 따른 위험을 반영하며 원화약세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정부는 긴급 합동대책을 여는 등 대책회의를 진행하지만 큰 대응책 마련은 없어보입니다. 그동안 한미FTA로 대부분 상품에 고나세를 없앴던 한국의 경우 지난달 철강알루미늄 25%에 이어 추가 25%가 부과되어 수출에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내일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선고기일입니다. 이 또한 원화약세요인이나 1470원대에서는 외환당국의 강한 매도개입이 이뤄질 것으로 보여져 이번주 후반의 환율 흐름이 주요할 것입니다. 현재 NXT거래에서 삼전 -2%, 하닉 -3.2% 하락하는 등 국내증시도 안좋을 것으로 보여져 외국인 자금동향도 잘 추적해봐야 할 것입니다.
상호관세 발효일인 다음주 9일까지 각국의 대응에 주목하며 금융시장 변동성은 커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럼, 좋은 하루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외환시장 관찰기록 > 환율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401 달러환율전망(월간전망) "상호관세 D-1 달러향방" (0) | 2025.04.01 |
---|---|
250331 달러환율전망 "공매도 재개. 외환시장 영향" (1) | 2025.03.31 |
250325 달러환율전망 "정국 불안에 한국 CDS 5Y 급등. 원화약세" (0) | 2025.03.25 |
250320 "3월 FOMC 정리. 비둘기파 해석" (0) | 2025.03.20 |
250317 달러환율전망 "트럼프 침묵, 주식시장 환호"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