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연휴는 잘 쉬셨는지요.
지난주 금요일 서울환시에서 1440원 고점~ 1405.30원 저점까지 큰 폭의 하락을 보인 달러원 환율은 5~6일 연휴기간동안 추가적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월요일 장중엔 1359원까지 하락 후 전일 1377원에 역외 종가를 마감하였습니다.
미중간 협상의지를 보이는 점에서 무역의존도가 높은 중국 위안화를 포함한 아시아통화의 전반적인 통화강세가 나타났으며 특히 대만달러의 경우 10%가량 절상되며 아시아통화 강세를 이끌었습니다.
지난주 금요일에도 미중갈등완화에 따른 대만증시로 외국인 자금이 유입되었고 대만 보험사들의 헤지가 대만달러 강세움직임을 부추긴 것으로 파악됩니다. 그간 대만보험사는 대만달러는 지속적인 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해 달러자산을 1.7조달러까지 늘리며 보유하고 있었던 상황입니다. 최근 탈달러 움직임 속 자산-부채의 통화불일치로 달러약세시 환차손에 대한 우려가 큰 상황이라 급하게 헤지거래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원화가 프록시헤지(Proxy hedge. 유동성이 낮은 통화의 거래위험을 줄이기 위해 유동성이 많은 통화로 헤지하는 투자기법) 대상이 되며 대만달러 강세에 동조되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금일은 달러원환율은 1370원대 개장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지난해 12.3계엄사태 이전 11월초 수준입니다. 미중간 무역분쟁완화가 위안화강세-원화강세로 이어질 재료이나 5개월간 1400원대 위에서 환율을 지켜본 시장참가자들 입장에서 저가매수세 유입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명일 새벽에 FOMC 금리결과가 발표예정이라 시장변동성이 커질 수 있어보입니다. 시장참가자들은 5월 금리동결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파월연준의장에게 "금리인하 타이밍이다"라며 금리인하 압박을 하고 있으나 독립된 연준입장에서 금리인하보다는 미관세부과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지켜보는 선택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달러원 환율도 하단지지 후 미국 관세합의 상황과 위안화와 동조되는 흐름을 전망합니다.
그럼, 긴 연휴 피로하시겠지만 힘찬 한 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외환시장 관찰기록 > 환율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424 달러환율전망 "미중 갈등 완화" (1) | 2025.04.24 |
---|---|
250422 달러환율전망 "Mr. too late 파월 해임 경고" (1) | 2025.04.22 |
250414 "탈달러 움직임. 달러약세 심화" (0) | 2025.04.14 |
250410 달러환율전망 "트럼프 풋! 관세 90일 유예. 중국 넌 남아" (0) | 2025.04.10 |
250407 달러환율전망 "버텨라!" 라는 트럼프에 수십만 시위대 결집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