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환장인 :: '원화전망' 태그의 글 목록 (19 Page)
카테고리 없음2022. 4. 25. 13:47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달러원 환율은 다음주 예정된 5월FOMC 반영중"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지난주 금요일 1245.4원 연고점을 경신한 달러원 환율은 외환당국의 강한 매도개입에 1239.1원까지 속락한 채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이후 파월 연준의장의 5월 50bp금리인상가능성 발언과 함께 6월 FOMC에서는 75bp금리인상이 가능하다는 시장의견이 모아지며 달러가 강세를 보였고 2년내 최고치인 101.3pt까지 상승하였습니다. 이에 미국 증시 주요지수는 -2~3%가량 하락하는 등 위험회피심리가 불거졌습니다. 

최근 달러엔 환율이 128.7엔을 기록하는 등 20년내 최고치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 위안화도 19일부터 4거래일째 2.2%가량 상승하며 6.5위안대 거래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사태 상황하에서도 위안화 결제가 증가할 것이란 전망에 강세흐름을 보였던 위안화는 최근 낮아진 경제성장률에 인민은행의 지급준비율 인하 등 경기둔화 대응정책을 실행하고, PBOC가 달러위안 고시환율을 시장예상치보다 절하고시를 하며 위안화 약세를 유도하려는 움직임을 내비치자 최근 위안화 약세를 띄고 있는 모습입니다.

5월 FOMC가 다음주 예정되어 있는 가운데 달러원 환율은 연고점 수준에서 상승시도를 이어갈 것으로 보여집니다. 연준의 5월 50bp금리인상은 기정사실되어 있는 반면 ECB는 7월 긴축실행을 예정하고 있고 일본은 여전히 완화정책을 고수하고 있어 주요국 통화정책 차별화가 달러강세를 심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지난주로 외국인 배당금 역송금수요는 마무리되었고 심리적인 저항선인 1250원이 넘을 경우 외환당국의 강한 구두개입과 매도개입이 실행될 것으로 보이나 3월 환율급등 이후 급락과는 다르게 4월초부터 완만하게 상승한 달러원 환율은 이벤트 해소이후에도 하단이 지지되며 급락하기는 어려워보입니다.

이번주는 매파 연준우려 지속으로 인한 강달러와 위험회피 속 증시부진의 상승압력 속 월말 네고물량과 당국 속도조절 가능성이 하락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그럼 힘찬 한 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엔화약세 + 위안화약세 = 원화변동성 증가"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ECB에서 7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나오며 달러인덱스가 100pt를 하회하였으나 뉴욕장에서 파월의장을 포함한 연준위원들이 3월 50bp금리인상과 기준금리를 3.5%까지 올릴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며 매파적인 입장을 내비치자 유로달러는 재차 1.08달러로 하락했고 달러인덱스는 100.6pt로 상승하였습니다. 이에 원화도 약세를 보이며 1242.5원에 최종호가되었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미-일간 통화정책차별화가 달러강세에 힘을 보태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데요. 엔화는 20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128엔대 머무르며 연준의 매파적 전망과 달리 일본 BOJ는 수익률곡선통제(YCC) 등 초완화적통화정책을 고수하고 있어 구두개입에도 엔화약세를 막기 어려운 것으로 풀이됩니다.

달러원 환율은 지난주 달러인덱스 100.6pt일때 1230원 수준이였으나 1240원대로 레벨을 높인데는 이창용 한은총재의 취임 영향이 큰 것으로 보여집니다. 화요일 기자회견에서 "외환보유액이 부족하다"는 발언 이후 역외에서 외국인 매수세가 몰려들려 원화약세에 베팅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는 홍남기 경제부총리의 환율안정화 발언과 대치되는 것으로 보이며 기재부와 한은의 공통된 입장을 밝히는 것이 중요해보입니다.

다음달 FOMC는 5월 5일로 2주일이 채 남지 않았습니다. 한국은 4월달도 25bp 선제적인 금리인상을 하며 대응에 나섰으나 전일기준 미10년물 국채금리가 2.91%, 한국 10년물 국채금리가 3.31%로 40bp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 상황으로 연초부터 한국10년물 국채금리는 46%상승한데 반해 미10년물 국채금리는 92%상승하며 선반영하고 있어 자금유출 우려도 있어보입니다.

 



미 증시도 최근 조정을 받으며 글로벌 증시하락을 이끌고 있으며 19-20일 2거래일 국내증시 순매수를 하였으나 규모가 미미하였고 코스피에서 올해 초부터 -10조원, 당월 -3조원 순매도를 이어가고 있어 연초이후 채권 +6.8조원 순매수를 넘어서고 있어 외국인증권자금은 순유출 상태로 파악됩니다.

지난 3월 15일 연고점이 1244.4원으로 재차 연고점에 다가선만 큼 외환당국의 개입 경계심리도 커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글로벌 달러강세가 심화되는 가운데 금일 에스오일과 현대차의 1.4조원 외국인배당금 지급도 수급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여져 연고점 경신여부를 주목해야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달러원 환율은 금주로 외국인배당금 이슈가 마무리되고 매파적 연준의 입장이 외환시장에 선반영되며 달러원 환율이 상승압력을 받겠으나 국내물가와 자본유출을 우려하는 외환당국의 적극적인 매도개입으로 상단을 제한하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럼, 한 주 마무리 잘 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미국채금리 급등, 달러강세에 원화의 방향은"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달러원 환율이 1주일 내 재차 1230원대로 상승한 가운데 밤사이 미국채금리상승과 달러강세에 1235원에 역외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미10년물 국채수익률은 2.86%로 201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였고 미일간 금리차로 엔화는 127엔까지 상승하며 2002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하였습니다. BOJ 구로다 총재는 환율변동성에 대한 구두개입하였으나 엔화추가약세를 막기엔 역부족이였습니다. 

최근 달러강세는 엔화(비중 13.6%)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보여집니다. 유로화도 다소 완화적인 ECB통화정책회의와 러-우크라이나 리스크에 1.07달러 수준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전일 세계은행은 글로벌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하였습니다. 우크라이나 사태와 코로나 팬데믹을 반영하여 1월 전망치 4.1%에서 -0.9% 낮아진 3.2%로 제시하였고 유럽 및 중앙아시아 지역의 큰 폭의 성장률 하락을 예상하였습니다.

전일 중국 1분기 성장률은 4.8%로 시장 예상치(4.4%)를 상회하였으나 당국의 제로코로나 정책에 따른 강력한 봉쇄조치로 올해 성장률 목표치인 5.5%를 달성하기는 어려워보입니다.

달러원 환율은 글로벌 달러강세와 중국경기 둔화우려를 반영한 위안화 약세흐름에 연동되어 약세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중공업체의 대규모 달러매도와 1230원 위에서의 네고물량, 국내 물가상승 압박에 따른 외환당국의 개입은 상단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올해 10조원의 외국인배당금은 지난주 대부분 소화되어 금주 역송금수요는 주초반에 영향을 미친 후 완화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달러원 환율은 1230원 중반수준에서 제한적인 상승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럼, 즐거운 하루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미CPI 불확실성해소. 전일대비 -10원 하락"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1238.4원 고점을 형성했던 달러원 환율은 홍남기 경제부총리의 외신 간담회에서 "환율이 굉장히 높다"며 "정부도 시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히며 구두개입을 하며 추가 상승을 제한하였습니다. 

서울환시 마감후 역외에서도 매도세가 이어지며 1230원 초반대까지 하락하였고, 미 소비자 물가지수가 전년동기 8.5%로 발표되자 불확실성 해소로 인식하고 달러약세에 동조하며 달러원환율은 1224원까지 급락 후 1229원에 역외최종호가되었습니다. 이는 서울환시대비 -7.5원 하락한 환율입니다.

미국 3월 CPI는 시장예상치 8.4%보다 소폭상승하며 1981년 12월 이후 40년내 최고수준이였으나 근원CPI는 전월대비 0.3%증가에 그치며 시장참가자들은 3월 물가상승률이 정점일 수 있다는 기대감에 달러가 일시적으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다만, ECB와 연준의 통화정책 차별화가 이어지고 있고 5월FOMC에서 50bp금리인상 가능성이 86%로 높아지고 더불어 대차대조표 축소도 발표될 것이란 우려에 달러인덱스는 재차 상승하여 100pt를 상회하였습니다.

외환시장 참가자들은 크게 
1. 외환당국
2. 외국인 투자
3. 수출입기업, 개인 실수요와 투자
4. 국내외 은행 커스터디 물량과 프랍딜
정도로 분류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중 3번과 4번은 추세를 만들기 보다는 리딩 레깅 등으로 짧게 대응하는 편으로 볼 수 있고 추세는 2번 외국인이 만듭니다. 24시간 중 역외 17시간 동안 추세를 형성하고 서울환시에서 따라가는 모양새입니다. 추세를 만드는 역할은 외국인이 하지만 고점과 저점을 형성하는 주체는 1번 외환당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구두개입과 실개입을 통하여 고점과 저점을 안내하고 적극적인 대응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2000년대와는 다르게 현재는 4500억불의 외환보유고와 국민연금 외 기금들의 순대외채권을 활용하기도 하며 어느정도 대응력이 있어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약세, 강세를 제한하는 것이지. 글로벌통화의 흐름은 따라갈 수밖에 없으며 5월 FOMC 불안감은 여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주는 내일 금통위가 예정되어 있으나 금리인상은 4월 또는 5월 컨센서스가 형성되어 있어 큰 영향력은 없을 것으로 보이며 주 후반으로 갈수록 외국인배당금역송금수요와 더불어 4.15일 북한의 태양절로 인한 한반도 지정학적리스크가 단기영향을 미칠 수 있어보입니다.

역외에서 급락한 영향에 서울환시에서 롱스탑물량이 일부 나올 수 있어보이나 상단은 외환당국이 하단은 커스터디물량이 지지해줄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럼, 즐거운 하루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늘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연준긴축우려로 재개된 원화약세 압력 + 외국인 배당금 역송금 수요"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지난주 1225.1원으로 마감했던 달러원 환율은 밤사이 연준의 긴축우려와 우크라이나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으로 1229원까지 역외에서 상승하였습니다.

이번주 발표될 3월 소비자물가지수가 8%를 넘을 것이란 전망에 미10년물 국채수익률도 2.7%로 2019년 3월이후 최고치를 경신중에 있습니다.

달러인덱스가 100pt 내외의 흐름을 보이며 유로달러 1.08달러, 달러엔 124엔으로 주요국 약세흐름을 이끌고 있으며 달러원 환율도 1230원으로 상승압력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달 외국인의 국내 주식시장에서 4.8조원의 순매도세를 기록한데 이어 4월달도 2.2조원의 순매도세를 이어가고 있어 원화약세압력을 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이번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시가총액 상위 기업들의 배당금지급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외국인배당금 지급일자>
11일 6315억원
12일 6855억원
13일 1509억원
14일 1.14조원
15일 1.93조원으로 예정되어 있어 주후반으로 갈수록 외국인 배당금역송금 수요가 커질 수 있어보입니다. 이는 달러원 환율의 하단을 지지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번주 달러원 환율은 외국인 증시자금이탈 지속, 연준 긴축우려에 따른 달러강세와 더불어 역송금 수요까지 겹치며 상승압력을 받을 것으로 보이나 1230원 위에서는 외환당국의 매도개입과 수출업체의 네고물량유입으로 상승폭을 제한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럼, 힘찬 한 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국내외 금융기관 4월 환율전망"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1210원 저점에서 결제수요가 유입되며 하단이 지지되었고 밤사이 연준이 매파적인 행보를 보일 것이란 우려에 위험회피심리가 강화되며 달러는 2020년 5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99.5pt까지 상승하였습니다. 이에 달러원 환율도 역외에서 6.1원 상승한 1218원에 역외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브레이너드 연준부의장 지명자가 5월 금리인상과 더불어 대차대조표 축소도 과거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이라 말하며 달러강세를 이끌었고 러-우크라이나간 사태도 진전이 없으며 유로화가 약세를 보이며 달러강세에 힘을 보탰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5월 50bp금리인상 가능성은 76.6%, 6월 50bp금리인상 가능성 62.2%, 75bp금리인상 가능성은 20.8%를 기록하며 외환시장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금일 밤 FOMC의사록 발표를 앞두고 연준위원들의 공격적 긴축 우려가 커졌고, 서방의 대러시아 제재 가능성, 국채금리 급등으로 인해 미 주요증시는 -1~2%의 하락을 보였습니다.

3월말 국내금융기관 전망치는 4월 평균 1190~1227원을. 이후 4분기까지 완만한 원화강세를 전망하였습니다. 해외IB 또한 2분기 평균환율 1213원 이후 4분기 평균 1198원으로 소폭 강세를 예상하였습니다. 자세한 이벤트와 주요이슈는 아래 이벤트 캘린더를 참고해주세요.

 

이벤트 날짜 주요 이슈
러-우 전쟁 -
•더 이상의 전쟁 장기화가 러시아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며, 4월 안 협상이 시장의 중론
•러-우 전쟁이 휴전이 될 경우 국제유가 하락 및 인플레이션 상승 둔화등의 이유로 환율 하방압력
미국 긴축 -
•미국과 주요국의 통화정책 차별화 전망이 심화되며 달러화 강세 지속
•연준은 5월 FOMC에서 50bp 빅스텝을 예상하고 있으며, 금리인상 뿐만 아니라 QT에 대해서도 시작 할 것으로 예상됨
•연준의 빠른 긴축속도는 환율 상승 및 하단지지 요인
배당금
역송금
-
•4월은 외국인 역송금 수요가 있어 환율의 하단을 지지할 요인
•외국인 순매도도 강도는 약해졌으나 아직까지는 순매도 우위


그럼, 즐거운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연준위원 매파적 발언기대 속 달러강세 심화"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지난주 1215.5원에 마감했던 달러원 환율은 이번주 예정된 연준위원들의 매파적 발언기대 속 달러강세를 보이며 +4.5원 상승한 1220원에 역외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지난주 러-우크라이나 휴전기대가 커지며 1207원까지 하락했던 달러원 환율은 러시아의 지속된 공급에 협상이 진전없이 마무리되어 유럽 경기둔화우려가 불거지며 유로달러 하락을 이끌었습니다. 

그럼에도 러-우크라이나 전쟁이슈는 다소 둔감해졌으나 이번 주 FOMC의사록 발표와 연준위원들의 매파적 입장이 주목되며 달러원 환율은 재차 1220원대로 올라설 것으로 보여집니다.

미 긴축예상에 따른 10년물 국채금리는 2.38%를 기록하였고 2년물 국채금리는 2.46%로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되었습니다. 통상 장단기 금리역전은 경기침체의 시그널로 인식되고 있어 연준의 긴축행보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번달 달러원 환율은 둔감해진 우크라이나 사태에 3월 중순 기록했던 1244원 고점경신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나 4월 외국인 배당금역송금수요와 북한의 지정학적리스크 발생에 하단이 지지되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연준의 50bp금리인상도 기정사실화하며 시장에 빠르게 선반영되고 있는 점도 추가상승모멘텀이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분기말이 지나며 수급부담이 약화될 것으로 보이나 중공업 수주소식이 전해지며 1220원 위에서 수출기업들의 적극적인 네고물량이 더해지며 1220원을 중심으로 제한된 흐름을 보일 것을 전망합니다.

그럼, 힘찬 한 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러-우크라이나 5차협상. 역외 달러원 -11원 하락"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월요일 말씀드렸듯 러-우크라이나의 한달넘게 이어진 전쟁의 휴전가능성이 커지며 밤사이 역외에서 달러원 환율은 -10원 가량 하락한 1209원에 최종호가되었습니다.

전일 터키 이스탄불에서 러-우크라이나는 4시간동안 5차협상을 진행하였습니다. 우크라이나는 중립국화 및 비핵국화 추구 등을 명시한 제안을 하였는데요.
1. 우크라이나 무기배치금지
2. 군사훈련 미실시
3. 우크라이나 안보 보증국 목록
4. 크림반도 재탈환 노력 배제
5. 돈바스지역 독립을 용인
이상의 제안목록을 우크라이나에서 제안하였고 러시아에서 검토 후 푸틴과 젤렌스킨 대통령의 정상협약이 이뤄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미 주요지수는 1~2%내외의 상승세를 이어갔고 유로달러는 1.3%이상 급등하며 달러약세를 이끌었습니다. 또한 달러원 환율도 역외롱스탑에 전 저점수준인 1208원까지 하락 후 1209원 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다만, 유가도 협상진전소식에 WTI가 107불에서 1시간 반만에 99불까지 급락하였으나 이후 서서히 반등하여 106불까지 상승해 여전히 인플레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최근 달러강세를 이끌었던 '유럽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유로화약세'와 '일본 통화정책완화에 따른 엔화약세' 중 우크라이나 협상소식에 유로화는 강세의 흐름을 보였고, 전일 일본도 엔화약세가 수출업체에 긍정적이라는 기존 입장에서 6년내 최고치인 125엔까지 약세를 보이자 구두개입을 하며 추가약세를 저지하는 모양세입니다.

한달간 이어진 유럽 지정학적리스크가 빠르게 해소될 가능성이 보이나 사태해결이 되더라도 러시아 제재에 따른 글로벌 교역량 감소와 원자재 수급이슈가 몇달간 이어질 수 있어보입니다. 또한 이번 전쟁으로 유럽의 군비지출 확대, 난민수용 이슈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상반기는 달러강세를 지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크라이나 사태해결은 연준의 매파적인 스탠스를 강화할 수 있어 최근 연준위원들이 발언하는 50bp 빅스텝의 금리인상이 나올 경우도 배제할 수 없어보입니다. 

이미 전쟁이라는 엎지러진 물을 닦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금융시장은 시장참가자들의 예상보다 기대감과 불확실성을 빠르게 반영하는 흐름을 보일 것입니다. 

<생각> 2.25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없었다면 달러원 환율의 현재 위치가 어디일까를 곰곰히 생각해봅니다. 1190원에서 시작되어 3월 FOMC 경계감에 1월 전고점인 1215원 수준으로 고점을 형성하고 50bp인상 후 불확실성 해소라는 재료로 1180~90원 수준이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이후 유로존의 긴축이슈로 유로화가 강세를 보이며 달러약세를 불러일으켜 원화도 역사적 평균환율 수준인 1130원을 향해 완만한 하락을 하는 패턴. 

회귀의 법칙으로 빠르게 원화강세를 보이지는 않겠으나 우크라이나 사태의 상흔을 치료하는 시간으로 당분간 1200원 내외의 보합세에서 완만한 원화강세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럼, 한 달 마무리 잘 하시고 즐거운 하루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장기화되는 우크라사태, 원화에도 부담"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지난 17일 FOMC 불확실성 해소로 1206.5원까지 하락하며 저점을 형성했던 달러원 환율은 우크라이나 사태 지속과 연준위원들의 50bp 금리인상 가능성 발언으로 지난주 금요일 역외에서 +6.4원 상승한 1225원의 역외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연준위원들은 50bp금리인상이 필요하며 5월부터 빠르게 대차대조표를 축소하자는 매파적스탠스를 보이고 있으며 파월연준의장도 이에 동조하는 모습에 달러인덱스는 3월 FOMC이전 수준인 98.86pt까지 상승하는 양상입니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한달째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젤렌스킨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중립국유지와 돈바스지역 합의의사를 내비치며 협상의지를 내비치고 있으나 국지전이 계속 이어지며 여전히 러시아와의 이견이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2020년부터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부족, 임금상승압력,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확장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에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고유가 장기화, 공급망 회복지연이 더해진 상황입니다. 이에 인플레이션 압력의 빠른 해소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고물가 장기화와 함께 성장둔화를 나타내는 스태그플레이션 리스크가 커지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위험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결국 총수요를 억제하고 인플레이션 기대를 낮추기 위한 강한 통화긴축이 불가피한 상황이며 그 과정에 글로벌 경제에 충격을 줄이는 것이 향후 연준의 도전과제가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결국 연준의 통화정책 속도가 달러흐름의 키를 쥐고 있는데 이번주 3.31일 미 2월 근원PCE가격지수발표를 앞두고 있으며 4.1일 미고용지표 와 유로존 3월 CPI 발표를 앞두고 있어 향후 물가지표와 고용지표의 숫자가 상당히 중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달러원 환율은 지난 2주간 1244원 고점과 1206원 저점의 40원의 큰 변동성 장세를 보였으나 시장은 여전히 달러강세쪽에 무게를 두고 있어 상승압력이 더해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국내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매매동향도 매수와 매도를 반복하는 뚜렷한 방향성이 없는 가운데 월말 분기말 네고물량이 1220원 위에서 적극적으로 나올 수 있어보여 상단이 제한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합니다. 

4월은 늘 외국인 배당금 역송금수요가 발생하는 시기였으며 4.15일 북한의 태양절(김일성 주석 생일)이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키울 수 있어 달러원 환율 하단도 제한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미 긴축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부분은 선반영한 것으로 인식되며 우크라이나 사태가 급악화되지 않는 이상 전고점 1244원을 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분간 달러원 환율은 1220원을 중심으로 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대로 우크라이나-러시아의 빠른 협상으로 지정학적리스크가 완화된다면 이전 저점인 1200원 초반수준으로 급락할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

그럼, 3월 한달 마무리 잘 하시고 힘찬 한 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환율전망 "북한 ICBM도발. 2~3일짜리 재료인가?"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1217.1원 저점을 형성했던 달러원 환율은 오후 2시경 북한의 ICBM 발사소식에 반응하며 소폭 상승한 1218.8원에 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밤사이 연준위원들의 매파적 발언과 일본엔화가치가 122.37엔까지 약세를 보이며 달러인덱스는 98.73pt까지 상승하였고 이에 +2.5원 상승한 1221.3원 역외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북한의 ICBM도발은 4년만에 발생한 것으로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들의 규탄과 대북제재 등에 나서는 한편 대화채널도 언급하는 등 기존 대북 정책에 당정 변화는 없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한국의 대선이후 북한은 늘 도발을 해왔으며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가 핵개발을 통한 김정은의 정권유지를 유지하기 위해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북한의 도발은 과거 경험적으로 안보불감증으로 그 영향력이 미미하였으나 김정은 체제 10주년,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내부 결속력 강화, 4월 북한의 태양절 등 감안시 이후 상황을 더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밤사이 나토회의에서는 주요국 정상들의 러사이 제제에 뜻을 모았지만 에너지 관련 언급은 없었습니다. 유럽이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수입금지조치는 자멸하는 조치로 시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됩니다. 동부쪽 전투단을 추가배치하고 준비태세를 강화하는 정도로 회의를 마쳤습니다. 

미국은 최악의 물가상승률에 중국제품의 352개에 대해 관세를 없앴습니다. 2018년 2200개 관세적용에서 2020년말 549개로 줄인 후 전일 352개 항목에 대해 추가관세유예를 함으로써 중국과의 무역갈등을 해소하고 중국의 러시아 지원을 제재하기 위한 당근책으로 보여집니다.

최근 달러엔환율이 2015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약세폭이 가파른데요. 엔화약세로 인한 달러강세에 원화는 크게 연동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는 미연준의 긴축에 한국은 선제적 금리인상으로 발맞춰 나가고 있으나 일본은 여전히 완화정책을 고수하는 등 통화정책 차별화가 엔화약세를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는 곧 일본의 상품가격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어 한국의 무역수지악화로 이어질 리스크고 잠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달러원 환율은 1220원 위에서 개장후 대외불확실성 지속으로 상승압력을 받겠으나 글로벌 증시상승에 따른 위험선호 회복, 국내 주식시장의 외국인 순매수세, 1220원 위에서 분기말 네고물량이 적극적으로 나올 것으로 보여 상단이 제한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합니다.

그럼, 한 주 마무리 잘 하시고 즐거운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