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환장인 :: '환율전망' 태그의 글 목록 (35 Page)
728x90
반응형

달러원 환율전망 "올해 마지막 금통위. 이주열 총재 1100원 빅피겨 방어의지?"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재차 1110원 밑으로 하락한 달러원 환율은 밤사이 역외에서도 2원가량 하락한 1106원 수준에 역외종가를 마감하였습니다.

달러인덱스도 재차 92pt를 하회하며 유로달러도 1.19달러로 상승하였습니다. 

미국 추수감사절 연휴를 앞두고 위험선호심리가 이어지고 있는 모습인데요. 코로나19확산이 심각한 상황임에도 바이든 당선인의 정권인수 개시와 백신기대, 재닛옐런 재무장관 내정 소식등이 위험선호를 이끌며 증시상승 + 달러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증시에 11월부터 한달간 7조원이 유입되며 코스피 지수도 사상최고치를 경신하고 달러원 환율도 1135원에서 -30원 가량 하락하며 글로벌 위험선호심리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중공업 수주 소식도 연이어 들려오고 11월 무역수지 폴도 66억불 흑자로 수급상 달러매도가 우위를 보이는 상황입니다. 

금일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지난 10.14일 금통위에서 이주열 총재는 "환율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과거보다 적다"고 평가하며 "수출은 국제교역과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좌우된다"고 발언하였었는데요. 당시 1140원대였던데 반해 현재 1100원대 진입한 상황에서 어떻게 기자회견을 할지 주목됩니다. 

이미 무역협회에서 801개사를 대상으로 '최근 수출기업의 환율인식과 영향' 보고서를 발표하며 원화강세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는데요.

대기업 : 적정환율 1172원, 손익분기환율 1126원
중견기업 : 적정환율 1168원, 손익분기환율 1135원
중소기업 : 적정환율 1166원, 손익분기환율 1133원

로 조사하였습니다. 이미 손익분기환율보다 하락한 달러원 환율에 대해 이주열 한은총재도 발언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고 1100원 중반 레벨에서 당국의 개입경계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1100원 빅피겨 방어의지를 나타낼 것으로 보여집니다. 또한 국내 코로나 확산세도 금일 4~500명 가량 나올 것으로 보여 하락속도 조절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달러선물동향은 6개월 누적 -1조원으로 1240원대에서 매도세를 이어가다가 11월 들어서 +1.6조원 매수세를 보이며 연초 순누적으로 +5천억원으로 외국인도 달러선물시장에서 추가 매도보다는 매수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럼, 한 달 마무리 잘 하시고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하기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바꿔주세요.

  사실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이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원 환율전망 "미 재무부 긴급대출 연장 불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주말은 편히 쉬셨는지요.

주말사이 글로벌 코로나19확진자수가 일일 60만명에 달하고 미국은 17만명, 국내도 300명 이상 지속되여 사회적거리두기 2단계로 격상조치 할 예정입니다. 화이자의 백신 긴급사용 승인신청승인이 3주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전염병 확산세에 따라 유럽지역에서 크리스마스 전까지 봉쇄조치를 이어가는 등 재차 경제봉쇄조치로 인한 경제둔화 우려가 불거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과거 바이러스 FDA 백신승인까지 4~12개월 소요 경험에 비춰 볼 때 이번 코로나19의 경우 얼마나 빠르게 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다만, 승인 이후 백신 접종까지 내년 상반기에 다 이뤄지지도 못할 것으로 보여. 코로나19 확산세에 따른 경제성장률 둔화는 지속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지난주 달러원 환율은 외국인 주식순매수(5조원)와 해외선박 수주 등 1103.8원까지 저점을 형성하였으나 외환당국의 강한 구두개입, 실매수개입과 코로나19 확산세로 하단을 지지하며 낙폭을 줄여 1114.3원에 마감하였습니다. 

지난 주말 미 재무부는 회사채 매입프로그램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메인스트리트 대출 프로그램을 포함한 일부 긴급대출 프로그램 연장 불가 방침을 발표하였으나 연준은 이례적으로 성명을 내고 반발하였습니다. 이에 추가 부양책 관련하여서도 불확실성이 계속되며 달러는 강세로 나타나고 미 증시는 하락세로 반응하였습니다.

이번주도 국내 2단계 격상조치와 글로벌 재확산 우려에 상승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월말 네고물량과 국내 증시로 외국인 매수세가 이어지며 상단을 제한 할 것으로 보여져 1110~1120원 좁은 레인지의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럼, 좋은 한 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하기. 카카오로그인으로 가능합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바꿔주세요.

  사실...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기분이 좋아질 것 같습니다 :)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원 환율전망 "역외 롱스탑으로 1110원 하향이탈. 서울환시에 외환당국 등장"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지난주 좁은 박스권에서 등락하며 1115.6원에 마감했던 달러원 환율은 백신개발기대감으로 인한 위험자산선호심리와 달러약세로 인해 1108원에 역외 종가를 마감하였습니다.

서울환시에서는 외환당국이 1110원을 강하게 막고 하단지지선을 가이드라인으로 설정한 듯한 모습이나 NDF 역외에서 롱스탑물량이 나오며 1110원을 하향이탈 한 모습으로 이해가 됩니다. 

미국 일일 코로나19 확진자수가 16만명에 이르는 등 안전통화인 일본 엔화와 스위스 프랑이 강세를 보이며 달러가 약세를 보였고, 이러한 미국의 코로나19 확산세가 대규모 부양책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달러는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달러위안 환율도 6.6위안을 하향돌파시도하며 강세신호를 보내고 있는 점도 달러원 환율에 하락압력을 가하고 있습니다.

미대선 이후 국내 증시로 외국인 순매수자금이 4.2조원 유입되고 있어 빅피겨(1100원)을 하향돌파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1100원을 목전에 둔 레벨부담과 외환당국의 지속적인 구두개입, 실매수개입등은 하단을 막는 주요재료가 될 것으로 보여지며, 국내에서의 코로나19 확산세도 이어져 1.5단계, 2단계 격상을 앞두고 있는 점은 달러원 환율의 하단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주 18일(수요일) 한국은행에서 10월중 거주자외화예금 동향을 발표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상반기 1180~1200원 수준에서 크게 늘었던 거주자외화예금이 어느 정도 감소되었는지 중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최근 위안화와 원화가 주요통화 중 가장 큰 강세폭을 보이고 있어 최근 수출증가율에... 수출가격경쟁력에 대한 이슈가 불거질 수 있어보입니다. 

중소기업의 손익분기 환율이 1118원이라는 조사결과가 15일 중소기업중앙회(308개 대상)에서 발표하였습니다. 여기서 올해 중소기업이 영업목표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다고 판단한 적정환율은 1180원 수준으로 지금과 같은 원화강세에 상당히 채산성이 낮아진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에 외환당국은 조금 더 강력한 하단지지 시그널을 시장참가자들에게 전달해야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달러원 환율은 여전히 너무 많이 빠졌다는 판단과 하단지지는 유효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럼, 힘찬 한 주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하기. 카카오로그인으로 가능합니다.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바꿔주세요.

  사실...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기분이 좋아질 것 같습니다 :)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1130원 하향이탈. 네고물량과 결제수요 공방" 1125~1135원 범위 예상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최근 하단 지지선으로 인식되었던 1130원이 주말사이 역외시장에서 1128원으로 하락하였습니다. 대선 전 미 부양책 불확실성이 지속하는 가운데 지난주 달러는 1%가량 하락하며 달러원 환율도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지난주는 부양책불확실성이 안전자산선호심리로 이어지며 달러강세 재료로 작용하였으나 11.3일 미 대선에서 누가 당선되든 대선이후는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실시될 것으로 기대되며 달러약세 방향으로 선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23일 있었던 미 대선토론은 무난히 넘어가며 트럼프의 한방이 없었던 상황으로 지지율 격차는 여전히 10%내외로 벌어져 있는 상황입니다. 주말사이 프랑스는 하루 확진자 5만명이 넘어서고 미국은 8만명이 넘는 등 코로나로 인한 확진자 추세는 더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26일 달러원 환율은 1120원대로 하락출발할 것으로 보이나 지난주 홍남기 경제부총리의 발언에 이어 실제 어느 레벨에서 개입이 나오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또한 6.7위안 밑으로 하락한 위안화 관련하여서도 오늘부터 시작하는 중국 5중전회에서 관련발언이 나올 것으로 보여 하단테스트에 지지력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번주는 27일 한국 3분기 GDP증가율과 소비자물가, 무역수지 poll 발표가 예정되어 있고,

29일 ECB 통화정책회의 후 라가르드 총재의 기자회견까지 예정되어 있어 최근의 유로존 코로나 상황과 유로달러강세에 대한 부정적 발언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어집니다.


 

최근 1150원 이하로 하락한 환율에 기업들의 달러매도(10월 거주자외화예금 -30.9억불 감소)가 나오며 하락에 힘을 보탰는데요. 이번 주 월말을 앞두고 나오는 네고물량이 하락에 우호적이나 하방쏠림에 대한 당국의 조정, 저가매수, 결제수요 유입(10월 5대은행 10월 한달간 40억불 달러예금 증가)은 하단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번주는 1125원을 하단으로 주간 환율은 1125~1135원의 범위로 예상합니다.

10월 한달 마무리 잘 하시고요. 힘찬 하루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1133.5원에 개장한 달러원 환율은 오전 11시 20분경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아직 국내 외환수급에 큰 문제가 없고 균형을 이룬 것으로 파악된다. 다만, 지나치게 환율이 한방향 쏠림을 보이거나 경제 펀더멘털에 괴리될 경우 시장안정조치를 강화하겠다"고 발언후 1133월에 거래되던 달러원 환율은 1138.5원으로 튀었으나 아시아장에서도 달러약세, 위안화강세가 유지되며 상승폭을 반납하며 1132.9원에 장 마감하였습니다.

당국의 구두개입이 나왔으나 실제 매수개입은 없던 것으로 보여 상승유지를 못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밤사이 달러인덱스는 미 부양책이 대선전 불가능할 것이라는 실망감에 0.4%가량 강세를 보였고 2년내 최고치를 보였던 위안화도 약세로 돌아서며 달러원도 1135원 수준으로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중국당국 또한 어느정도 위안화 강세는 용인하는 모습이나 가파른 통화절상에 우려를 표하였고 홍남기 경제부총리의 발언이 시장참가자들에게 저점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지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달러원 환율은 수급과 재료로 움직이지만 시장참가자들을 분류해보자면
1. 실수요자(개인,기업)
2. 금융기관(은행 외)
3. 외국인투자자
4. 외환당국

 

이렇게 4개의 주체를 생각해볼때. 1, 2번은 프랍딜러나 트레이더 제외하고 일정한 헤지목적의 외환거래를 하는 반면 외국인의 적극적인 포지션 구축에 맞서는 것이 외환당국으로 인식됩니다.

2018년 중순 1050원 저점에서. 또 올해 1300원 근처까지 갔을 때 고점을 만들어준 것은 외환당국의 구두개입 후 실매도, 매수물량으로 고점과 저점을 만드는 주체로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전일 당국의 예의주시하겠다는 발언이 나온만큼 저점테스트를 이어갈지 1130원 하단을 지지 후 반등할지. 미 대선까지 부양책 합의는 이뤄질지. 시장예상처럼 바이든이 당선될지 등등등등.. 여러이슈들이 있어. 다음주 한 주가 기대됩니다.

그럼, 한주 마무리 잘 하시고요.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12일에 -40원 하락한 달러원 환율. 원화강세 이어질 것인가"

 

21일 달러원 환율은 1131.10원 저점을 경신하며 19년 3월 이후 19개월내 최처치를 기록했습니다. 20일 18개월내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기사를 본 것 같은데... 하루하루 저점을 낮춰가고 있습니다. 

 

달러원 환율 일봉차트

 

차트로 보면 이미 RSI, 스토케스틱 등 과매도구간에 진입한 상황으로 볼 수 있는데요. 월봉으로 봐도 5개월내 연속 음봉을 만들고 있어 그 추세가 상당히 강해보입니다. 

 

최근 원화강세에 금융기관 전문가들은 시장전망치를 급하게 하향조정하고 있습니다. 9월말 2021년도 연평균환율을 1150~1180원 수준에서 불과 12일 사이에 1100~1130원으로 내렸으니 환율예측과 전망이 그만큼 힘든 것으로 보이네요. 저 또한 4/4분기 하단을 1150원 저점에서 1135원으로 수정하였으나 이미 저점을 하회하고 있고요.

 

전일 미 2차 부양책 관련하여 합의 기대감에 달러인덱스가 92.6pt로 0.5%가량 하락하였고요. 위안화는 6.65위안까지 내려서며 가파른 속도로 절상되고 있습니다. 중국 3분기 GDP가 4.9%로 발표되며 코로나19 직전 성장률인 6%에 다가서며 전세계에서 가장 빨리 회복국면으로 진입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중국에는 코로나 확진자가 안나오나?? 이제 끝났나?? 라는 의문은 늘 있습니다. 또한 중국 발표자료를 다 신뢰가능한가?? 라는 의문도요.

 


 

연초이후 신흥국 통화등락률

 

위에 차트를 보시면 올 초부터 신흥국 통화들(위부터 원화, 싱가포르달러, 위안화, 인도 루피화, 캐나다달러. 러시아 루블과 브라질 헤알화는.. 너무 약세로 가서 뺐습니다) 등락률인데. 1등이 예상하는 것처럼 위안화가 연초대비 -4.5%가량 강세로 움직였으며 원화는 2등으로 -2.12% 강세입니다. 여타 아시아통화들은 연초 보합수준인데... 원화가 위안화를 급하게 쫒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미 부양책 관련하여서는 대선 전까지의 기대는 약화되었으나... 트럼프가 되든 바이든이 되든 부양책은 통과될 것이기 때문에 달러약세재료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지며. 그 영향력이 선반영되며 달러가 약세로 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한 나라의 통화는 다른나라와의 상대가치이기 때문에... 중국 위안화와 한국 원화의 메리트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많은 금융기관 전문가들의 원화강세 전망에 수출기업들의 네고물량과 역외매도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결제수요는 미뤄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10월 들어 12영업일에 -40원 가량 급락한 점은.. "이제 곧 외환당국이 나서겠지"라는 생각이 들게되는 시점입니다. 이주열 한은총재나 기재부차관들은 지난 주 간단한 구두개입을 하였으나 전주대비 -10원 가량 추가하락한 상황이기에 실탄을 쓸 때가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또한 미 대선이 2주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불확실성은 언제든 커질 수 있어 예의주시해야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미 대선까지 남은시간 2주.. 역외에서 깨진 1140원 레벨. 지킬것인가"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밤사이 달러원 환율이 1139원까지 하락하며 역외에서 연저점을 경신하였습니다. 현재 시장을 움직이는 몇가지를 집어보자면...

1. 유럽지역 코로나 재확산에 따른 봉쇄조치
프랑스 등 일부 유럽국가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통행금지를 실시 하는 등 이탈리아, 영국, 스페인도 봉쇄조치에 돌입했으며 유럽지역은 코로나 2차 대유행이 예상되고 있어 유로화 약세압력(달러강세, 원화약세)을 보일 것으로 보여집니다.

2. 중국 3분기 GDP 연율 4.9% 발표
예상치 대비는 부진했지만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한 후 1분기 -6.8%, 2분기 3.2%, 3분기 4.9%로 V자 회복세를 보이며 달러위안도 6.6위안대까지 하락하며 위안화 강세압력(원화강세)을 주고 있습니다.

3. 미 2차 부양책 진행상황
주말사이 거치며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이 합의 마감시점을 20일(수요일)로 제안하며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구체적인 성과가 나오지 못하고 대선 전에 타결될 수 있다는 기대가 약화되었습니다. 므누신 장관은 17~20일 이스라엘, 바레인, UAE 방문 중으로. 부양책 협상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4. 미 대선 진행상황
앞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바이든 당선시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따를 것으로 보여 달러약세(원화강세)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시장은 이미 선반영하며 달러원 환율 하락에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불복할 경우 정치적 불확실성이 높아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9월까지 미 대법원 대법관 구성이 보수5, 진보4인 상황에서 긴즈버그(진보1) 사망으로 트럼프가 대법관 인준을 서둘렀는데요. 18일 트럼프는 에이미 코닛 배럿을 지명하며 (보수6 : 진보3) 으로 만들려고 합니다. 이번주 목요일(22일) 배럿 후보자에 대한 인준표결을 상원에서 결정할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 상원은 공화당 53명, 민주당 무소속 47명으로 인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9월말 1180원에서 1140원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현재 달러원 환율 수준은 언더슈팅 되어 있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RSI와 스토캐스틱도 과매도 구간에 진입하며 부담감이 쌓이는 중이고, 1150원을 하회한 만큼 하락추세속에서 1137~1143원 부근에서 강한 지지력이 형성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럼, 으랏차차 힘찬 하루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Secondary Pandemic is coming..."

 

전일환율 : 시 1147.0  고 1147.0 저 1141.9 종 1143.2

 

  • 중국 PBOC 9월 신규 위안화 대출 1조 9천억위안으로 경기회복데 대한 기대감으로 위안화 강세

  • 미국 부양책 합의 기대감 하락과 국내 코로나 재확산세 불구하고 위안화 강세에 연동

  • 위험회피 분위기를 이어가며 1147원 개장하였으나 전일 이주열 한은총재의 "수출이상 없다"는 발언에 네고물량 유입

  • 1145원을 중심으로 등락하던 달러원 환율은 오후들어 역외 달러매도와 네고물량이 유입되며 낙폭을 키워 1141원대까지 저점을 낮춤

  • 코스피 -0.81%하락. 외인 210억 순매도 / 코스닥 -1.98%하락. 외인 211억 순매도

  • 전일대비 -3.7원 하락마감


금일 예상 : 시 1145.0 고 1147.0 저 1144.0 종 1146.0

 

  • 유럽과 미국에서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 겨울철 2차 팬데믹 우려. 전세계 3800만명. 사망자 100만명 돌파

  • 미국 일일 확진자 5.8만명, 인도 일일 확진자 6.3만명, 프랑스 일일 확진자 3만명

  • 스페인, 프랑스 비상사태 선언 등에 따른 글로벌 2차 대유행 우려 부각

  • 달러화는 글로벌 코로나 재확산과 2차 부양책 난항에 안전자산 선호심리 불러오며 달러 0.4% 상승한 93.786

  • 영국-EU간 브렉시트 협상시한(10월 31일) 앞두고 영국측 무역협상 대표가 EU에 실망감을 내비추며 하락. 달러강세에 일조

  • 역외 달러원 환율 +1.9원 상승한 1145.3원 최종 호가

  • 글로벌 코로나2차 재유행과 미대선을 앞두고 공방을 펼치고 있는 추가부양책 이슈로 하단지지 예상

전일 주요지표

  미 10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결과 10.5, 이전 17.0)

  미 10월 필라델피아 연은 경기전망(결과 32.3, 이전 15.0)

 

금일 주요지표

  한국 9월 실업률(예상 3.7%)

  유럽 9월 CPI(예상 -0.3%)

  미국 9월 소매판매, 산업생산

  미국 Fed 존 윌리엄스 총재연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하단지지 강화되며 강보합"

 

전일환율 : 시 1149.5 고 1149.5 저 1142.5 종 1146.9

  • 미 경기부양책 타결과 코로나 백신 개발에 대한 기대가 약해진 점은 글로벌 달러 약세요인으로 작용했으나 위험선호심리를 약화시키면서 달러/원 환율의 하단 지지 요인으로 작용

  • 프랑스가 코로나 재확산으로 파리 등 주요도시에 야간 통해금지를 실시하면서 오는 17일 부터 국가 비상사태 발동 

  • 역외 달러매도세와 기재부의 구두개입성 발언으로 장중 낙폭 되돌림

  • 역외 달러 매도세와 네고물량 유입으로 오전장 1,140원 초반대로 하락

  • 이주열 총재, ‘7월 이후 달러약세와 위안화 강세에 비해 원화는 상대적으로 완만한 강세를 보였는데 코로나 진정 이후 디커플링 해소과정‘

  • 오후들어 기재부 차관이 최근 외환시장 변동성이 커졌다고 발언하면서 낙폭을 되돌리면서 1,140원 중후반까지 반등

  • 전일대비 -0.2원 하락마감


금일예상 : 시 1147.0 고 1148.0 저 1145.0 종 1147.0

  • 대내외 하단 지지 요인 강화 속 1,140원 후반대 중심 강보합세 보일 듯 

  • 대외 위험회피 심리가 강화되는 가운데 전일 외환당국의 환율 변동성확대에 대한 언급은 하단 지지 요인으로 작용할 듯

  • 반면 이주열 총재의 수출에 미치는 환율영향은 과거에 비해 적다는 발언은 매수개입 우려를 줄이면서 전일 1,142원대까지 하락하기도 함 

  • 최근 급락에 따라 쌓인 네고물량은 1,150원 초반대에서 상단 저항요인으로 작용할 듯 

  • 미 대선 전 추가 부양책 도입 어려움과 코로나 백신 우려, 노딜 브렉시트 우려 등은 하단 지지 요인으로 작용할 듯 갭하락 이후 낙폭 확대 못하고 긴꼬리 음봉을 만들며 하락세 약화 중

전일 지표

미국 PPI +0.6%

미국 Core PPI +0.6%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728x90
반응형

달러원 환율 "원화와 커플링 강화된 위안화 강세 배경과 지속가능성" 해외IB 전망자료, 금통위 발언

 

20.10.14일 달러원 환율이 저점 1142.5원으로 19년 4월 이후 최저점을 기록하며 5월말 1245원 고점 형성 후 5개월째 하락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미국 경기회복 모멘텀 둔화우려로 인한 달러 약세와 더불어 최근 중국의 신규대출증가세 등 경기회복 시그널이 지속되며 위안화 강세에 힘입어 원화도 위안화와 커플링이 강화되며 연저점을 경신중에 있습니다. 

최근 위안화와 상관관계가 더욱 높아졌는데요. 

중국은 미중갈등,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증권투자(2020년 1082억불)와 직접투자(2020년 890억불)로 1150원기준 원화 230조원의 자금이 연초이후 8~9월까지 유입되고 있습니다. 

위안화 강세 지속 배경으로는


1. 코로나19 조기극복과 경기회복 : 미중간 경기회복 속도차이로 미중간 금리차 확대

 

2. 자본시장 개방 가속화 : 세계경제침체 속 외자유입 감소 우려에 외국인 투자한도 및 업종 제한을 완화


3. 내수시장 확대정책 : 장기 성장 전략키워드로 내수확대를 강조하는 쌍순환 정책 지원


4. 위안화 국제화 진전 : 중국 정부의 일대일로 프로젝트 및 원자재. 위안화 결제 확대

상기와 같이 위안화 가치가 높아져 6.7위안 초반수준까지 하락하였으며 해외IB들 또한 2021년 위안화 가치가 현수준을 유지 또는 소폭 강세로 움직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09월말 발표 USDCNY 해외IB 전망자료

 

 

 

위안화 감안시 달러원 환율도 강세압력을 받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밤사이 달러인덱스는 하락하고 위안화는 강세를 보였지만 역외 달러원 환율은 상승하였는데요.

 

CNY CNH KRW 연초이후

최근 1년사이 위안화와 원화의 상관관계는 80%인 상황에서 최근 1주일은 역상관관계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10월 금통위에서

이주열 한은총재 "원화강세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

김용범 기재부 1차관 "최근 원화 강세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시장 안정 노력을 지속하겠다", "수급 여건은 안정적"이라고 평가하였습니다. 급락에 따른 외환당국의 매수개입의지가 보이지는 않았으나 시장참자가들은 발언이후 오후 2시를 기점으로 낙폭을 되돌렸으며 글로벌 금융시장도 위험회피심리가 불거져 달러원 환율 하단을 지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9월부터 미 백악관과 민주당의 2차 부양책 협상이 난항에 빠지며 대선 전까지 부양책 합의가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유럽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크게 증가하고 백신관련 임상시험 중단, 영국 노딜 브렉시트 우려에 파운드 약세, 미 증시 조정 등으로 달러원 환율도 5개월간 긴 하락세에서 1140원 하단지지 테스트를 강하게 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