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환장인 :: 달러인덱스_2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수정(19.02) 달러인덱스(Major, OITP, Broad, G10)
728x90
반응형

달러인덱스_2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수정(19.02) 달러인덱스(Major, OITP, Broad, G10)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1편에서 달러인덱스의 종류에 대해 주요 6개국 통화비중 달러인덱스 G10, 무역가중 달러인덱스(Major, OITP, Broad)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2편에서는 FRB의 달러지수 수정안에 대해 알아보고 그 용어를 익혀보려 합니다.

 

https://letsknowthis.tistory.com/5

 

달러인덱스 종류 (OITP, Major, Broad, G10 달러인덱스) 1편

20.03 기준(국제통화기금 IMF) 전세계 중앙은행 외환보유고 중 달러비중 62%(1970년 85%), 유로화 20.1% / 외환결제 88% 달러 달러는 1970년 외환보유고 85%대비 62%로 비중이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유로화 엔

letsknowthis.tistory.com

 

주요 6개국 통화비중 달러인덱스 G10은 여전히 많이 사용 중이나 2000년 들어서며 글로벌 교역량이 증가하며 무역가중 달러인덱스도 양자간 통화를 이해하는데 상당히 중요한 지수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1998년부터 사용하던 무역가중 달러인덱스(Major, OITP, Broad)는 19년 2월부터 AFE, EME, Broad로 변경되었습니다.

 


 

19.02 변경된 지수

 

미국과의 상호 무역이 최소 0.5% 이상인 26개국 통화를 기준으로

Broad : 26개국 주요 교역국들의 통화에 대한 미국 달러의 외환 가치의 가중평균치

AFE(Advanced Foreign Economies) : (기존 Major 7개국 ) 주요 선진국인 통화에 대한 미국 달러의 외환가치의 가중평균치

EME(Emerging Market Economies) : (기존 OITP 19개국) 주요 신흥국인 통화에 대한 미국 달러의 외환가치의 가중평균치

 

출처 : federalreserve.gov

 


 

19.02 지수구축 변경사항 (Changes to the index construction)

 

1. 서비스 추가 (Addition of services)

역사적으로 1998년 이후 2018년까지 Major, OITP 지수는 상품교역만 사용되었던데 반해, AFE와 EME는 상품과 서비스 무역도 포함

 

2. 비중 계산의 단순화 (Simplication of weight calculations)

기존에는 양자 간 수입비중 50%, 수출비중 25%, 수출경쟁력비중 25%로 측정하였으나 현재는 양자간 무역의 단순한 일부분으로 계산

 

3. 지수 통화 구성에 대한 주기적인 검토 (Periodic review of index currency composition)

가장 최근 상호 교역 수치를 기준으로 추가 및 삭제. 새로운 지수에 베트남 추가, 베네수엘라 제거

 

4. 인덱스 이름 변경 (Renaming of indexes)

Major는 AFE지수로, OITP는 EME지수로 변경.

 

이러한 지수구축 변경 이유는...

2017년 미국의 서비스 수출이 34%, 서비스 수입이 19%에 달해 서비스 무역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2019년부터 서비스 무역을 포함한 가중치가 구축되었습니다. 또한 베트남의 무역 점유율은 1.2%로 기준치인 0.5%를 넘고 있어 베트남을 추가시켰고 베네수엘라는 0.2%를 하회하여 제외시켰습니다. 이러한 지수구축 변경을 통하여 Broad 지수에 포함된 26개 통화는 전체 미국과의 양자무역의 9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10.01~2020.10 달러인덱스 (출처 : infomax)

 

2018.01~2020.10 달러인덱스 (데이터수집 : infomax)

   

 

위에 차트는 2018년 초부터 2020년 10월 초까지의 Broad, AFE, EME, G-10 지수의 등락률을 알아볼 수 있게끔 조정하였는데. 2018년 ~ 2019년 말까지 미중 무역전쟁 포화 속에서 선진국(AFE)대비 신흥국(EME)에서 달러강세가 0.4%정도 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선진국, 신흥국 둘다 피해. 19.09월 10% 평가절하)

 


 

2020년 3월 코로나19로 인한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달러강세 영향으로 이어지며 신흥국에 더 큰 영향을 미쳐 10월 9일자 선진국(AFE) 3.44%, 신흥국(EME) 11.02%의 등락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G10 달러인덱스의 경우 다시 2018년 초 수준으로 복귀하였으나 글로벌 무역가중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의 경우 아직 제자리로 가지 못하였습니다.  EME지수도 3월 고점(23% 약세) 형성 후 하락추세에 있으나 코로나19와 미중간 무역분쟁으로 인해 글로벌 교역량이 늘지 않고 있어 여전히 18년 초 대비 10%이상 달러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를 다르게 생각해보면... 선진국들(영국 브렉시트, 유로존 경제봉쇄 등)의 통화약세와는 별도로 신흥국 통화들의 강세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해볼 수 있어보입니다.(물론 상품무역 비중이 큰 신흥국 데미지가 더 크겠지만)

 

이번 2편에서는 달러인덱스의 지수변경에 대한 내용과 2018년 이후 달러인덱스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는데요. 3편에서는 달러인덱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유로존(유로달러)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