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환장인 :: '2025/03/17 글 목록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지난주 미 소비자물가가 예상대비 하회한 영향으로 그간 미국 스테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다소 완화된 가운데 금요일 미증시는 강한 상승흐름(다우 +1.65%, 나스닥 +2.61%, S&P +2.13%)을 보였습니다. 2월 고점대비 -10%하락한 조정국면에 저가매수세가 유입되며 반등하였습니다.

14일로 예정되었던 미부채한도 협상은 6개월 유예가 되며 셧다운 사태를 벗어났습니다.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은 1917년부터 시작되었고 1980년대 이후 재정적자가 커지며 부채한도 협상이 정치적인 갈등요소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 때문에 2011년도 미국 신용등급이 강등되는 등 금융시장 불안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곧 없어질 가능성도 있어보입니다.

이번주는 미연준의 통화정책회의와 일본BOJ의 금정위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두 중앙은행 모두 금리동결을 예상하지만 FOMC이후 점도표와 함께 파월 연준의장의 기자회견이 주목됩니다. 연준위원들의 블랙아웃에 들어가기 전 파월의장은 시장친화적인 발언을 하며 다소 안심시키는 입장을 취했으나 트럼프의 관세정책에 대한 인플레 우려 언급시 위험회피심리가 불거지며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판단됩니다.

주말사이 외신에서는 "트럼프 침묵, 주식시장 환호"라는 헤드라인의 기사가 나오는 등 트럼프의 돌발 관세정책에 대한 비판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4.2일 예정된 상호관세가 2주정도 남았으며 시장에 큰 변동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인식됩니다.

원화의 경우 국내 정치적 불안정성때문에 1450원대를 지지하고 있으나 금주 중 헌재의 탄핵관련된 선고가 불확실성을 다소 완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독일의 재정개혁 합의 후 유로화가 강세를 보이는 점도 원화강세요인으로 인식됩니다.

그럼, 즐거운 한 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1. 부채 한도란?

미국 정부는 국채를 발행해 돈을 빌려 정부 운영비(사회보장, 군대, 공무원 급여 등)를 조달합니다.

하지만 의회가 정한 일정 한도를 초과해서는 빚을 더 낼 수 없는데요.

이게 바로 부채 한도(debt ceiling)입니다.

 

2. 왜 협상이 계속 필요할까?

미국은 계속해서 정부 지출이 증가하면서, 정해진 부채 한도에 도달할 때마다 이를 올려야 합니다.

하지만 부채 한도 증액은 의회의 승인이 필요해 여당과 야당이 정부 지출과 재정 정책에 대한 입장이 다르기 때문에, 협상이 길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3. 협상이 지연되면 어떤 일이 벌어져?

  • 정부 셧다운(Shutdown) : 새로운 돈을 빌리지 못하면 정부 기관이 일시적으로 문을 닫고, 공무원 급여도 지급되지 않습니다.
  • 국가 디폴트(Default): 최악의 경우, 미국이 국채 이자를 못 갚게 되면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충격이 올 수 있습니다.

 

4. 정치적 갈등이 협상을 어렵게 만들어

보통 공화당은 "정부 지출을 줄이자"는 입장이고, 민주당은 "필요한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그래서 부채 한도 협상은 단순한 경제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인 협상 카드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부채한도 협의의 역사>

 

미국에서 부채 한도(debt ceiling) 협상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건 1917년.

1. 부채 한도의 시작 (1917년)

  • 원래 미국 의회는 정부가 돈을 빌릴 때마다 일일이 승인해야 했습니다.
  • 하지만 제1차 세계대전 중 전쟁 비용을 빠르게 조달하기 위해 1917년 *제2차 자유채권법(Second Liberty Bond Act)*을 통해 최대 부채 한도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 이후 정부는 정해진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돈을 빌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현재와 같은 협상의 시작 (1939년)

  • 1939년, 전체 연방 부채에 대한 포괄적인 한도가 생기면서 현재와 같은 "부채 한도 협상"의 개념이 시작되었습니다.
  • 이후 미국 정부가 한도에 다다를 때마다, 의회에서 이를 조정하는 협상이 필요해졌습니다.

3. 본격적인 정치적 논쟁 (1950년대 이후)

  • 1950~1970년대까지는 비교적 쉽게 한도가 인상되었습니다.
  • 하지만 1980년대 이후 재정적자가 커지면서 부채 한도 협상이 정치적인 갈등 요소로 자리 잡았습니다.
  • 1995~1996년에는 협상이 결렬되면서 정부 셧다운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 2011년에는 협상이 늦어져 미국 신용등급이 역사상 처음으로 강등되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4. 최근 협상 (2023년)

  • 가장 최근에는 2023년 바이든 대통령과 공화당이 부채 한도 협상을 벌였습니다.
  • 공화당은 정부 지출 삭감을 요구했고, 민주당은 기본적인 정부 운영을 위해 한도 증액을 주장했습니다.
  • 결국 협상을 통해 2025년 초까지 부채 한도를 유예하는 합의가 이루어졌습니다.
  • 2025년 3월 15일 트럼프의 서명을 통해 6개월 연장합의가 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