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revenue_list_upper_## 환장인 :: '엔화전망' 태그의 글 목록 (3 Page)

달러환율전망 "북한 ICBM도발. 2~3일짜리 재료인가?"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전일 1217.1원 저점을 형성했던 달러원 환율은 오후 2시경 북한의 ICBM 발사소식에 반응하며 소폭 상승한 1218.8원에 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밤사이 연준위원들의 매파적 발언과 일본엔화가치가 122.37엔까지 약세를 보이며 달러인덱스는 98.73pt까지 상승하였고 이에 +2.5원 상승한 1221.3원 역외종가를 형성하였습니다.

북한의 ICBM도발은 4년만에 발생한 것으로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들의 규탄과 대북제재 등에 나서는 한편 대화채널도 언급하는 등 기존 대북 정책에 당정 변화는 없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한국의 대선이후 북한은 늘 도발을 해왔으며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가 핵개발을 통한 김정은의 정권유지를 유지하기 위해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북한의 도발은 과거 경험적으로 안보불감증으로 그 영향력이 미미하였으나 김정은 체제 10주년,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내부 결속력 강화, 4월 북한의 태양절 등 감안시 이후 상황을 더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밤사이 나토회의에서는 주요국 정상들의 러사이 제제에 뜻을 모았지만 에너지 관련 언급은 없었습니다. 유럽이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수입금지조치는 자멸하는 조치로 시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됩니다. 동부쪽 전투단을 추가배치하고 준비태세를 강화하는 정도로 회의를 마쳤습니다. 

미국은 최악의 물가상승률에 중국제품의 352개에 대해 관세를 없앴습니다. 2018년 2200개 관세적용에서 2020년말 549개로 줄인 후 전일 352개 항목에 대해 추가관세유예를 함으로써 중국과의 무역갈등을 해소하고 중국의 러시아 지원을 제재하기 위한 당근책으로 보여집니다.

최근 달러엔환율이 2015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약세폭이 가파른데요. 엔화약세로 인한 달러강세에 원화는 크게 연동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는 미연준의 긴축에 한국은 선제적 금리인상으로 발맞춰 나가고 있으나 일본은 여전히 완화정책을 고수하는 등 통화정책 차별화가 엔화약세를 부추기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는 곧 일본의 상품가격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어 한국의 무역수지악화로 이어질 리스크고 잠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달러원 환율은 1220원 위에서 개장후 대외불확실성 지속으로 상승압력을 받겠으나 글로벌 증시상승에 따른 위험선호 회복, 국내 주식시장의 외국인 순매수세, 1220원 위에서 분기말 네고물량이 적극적으로 나올 것으로 보여 상단이 제한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합니다.

그럼, 한 주 마무리 잘 하시고 즐거운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

달러환율전망 "달러엔 120엔 돌파. 6년내 최고치 경신. 원화커플링 가능성은"

 

 

 

안녕하세요. 환장인입니다.
지난주 FOMC에서 매파적 스탠스에도 불확실성해소와 우크라이나 사태완화 기대감에 1207원까지 하락했던 달러원 환율은 파월의장과 연준위원들의 50bp금리인상 가능성 언급에 달러강세를 보이며 달러원 환율도 전일 1220원까지 상승했습니다.

밤사이 미금리선물시장에서 5월 FOMC에서 50bp금리인상 가능성이 63%로 높아진 가운데 유럽장과 뉴욕장에서 주요지수가 상승하며 위험통화로 인식되는 호주달러는 0.75까지 상승했습니다. 이에 달러원 환율도 역외에서 -5원가량 하락한 1215원에 역외종가를 마감했습니다.

호주달러와 원화는 상관계수 -85%로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데. 최근에 그 흐름이 다르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엔화도 121엔에 육박하며 6년내 최고치로 상승하며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원화는 호주달러나 여타 신흥국 통화흐름보다는 엔화흐름에 조금 동조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는데요. 

<엔화약세 요인>
1. 엔화는 대표적인 안전통화로 인식되었으나 최근 미국과 유럽의 긴축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여전히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쓰고 있어 통화정책 차별화
2. 에너지 가격 급등은 세계 최대 에너지 수입국 가운데 하나인 일본의 경상수지 악화요인이 될 수 있는 가능성
3. BOJ의 정책 차별화는 엔캐리(엔화매도/달러매수)수요로 이어져 엔화약세 가속
이에 엔화는 3월초부터 6%가량 절하된 상황입니다.

이중 원화는 2번. 에너지 가격상승에 따른 경상수지 악화가능성을 공유하고 있어 엔화약세보다는 덜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최후통첩을 거부하고 대치가 지속되고 있으나 EU내 독일, 헝가리 등 러시아산 원유금수조치를 반대하고 있어 유로존 중심으로 글로벌 경제전망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금융시장에서는 리스크 선반영으로 낙관적 전망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원화시장은 분기말을 맞이하여 외화유동성부족우려에 스와포인트가 장기물위주로 밀리고 있으나 다음주 분기말 네고물량 유입과 장기화되는 우크라이나사태의 내성으로 상승보다는 하락압력을 받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럼 힘찬 하루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환' 이야기 듣고 싶으시다면 letsknowthis.tistory.com 구독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 ♥

많아지면 뭐가 좋은지 모르겠지만! 제 기분은 좋아질 것 같습니다 : )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환장인